-
-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 그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나?
이준구.강호성 엮음 / 스타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2/pimg_788498189324183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2/pimg_7884981893241838.jpg)
오늘 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자본주의가 제공하는 유무형의 가치나 더 나은 삶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 성공이라는 기준 등으로 표현되는 결과들에 대해 어떤 형태로 생각해 나가야 하는지, 그리고 예전의 사례에서 우리는 배울 수 있는 역사적 교훈이나 부를 이루기 위한 노력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 책을 통해 확실히 배우며 예나 지금이나 유효한 부자 마인드나 패턴, 법칙 등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책에서는 유명한 인물부터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언급, 그리고 상대적으로 조선시대에 부자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겠지만, 그 시대에도 사람들이 살아갔고, 부에 대한 열망이나 관리는 지금 못지 않았다는 사실을 마주하게 된다.
거상으로 볼 수 있는 임상옥에 대한 언급부터 최부잣집의 독특한 경영철학과 원칙 등을 마주하며 지금도 경제인들이나 사회의 상류층들에게 요구되는 덕목이나 인성적인 요건, 또는 나눔이나 실천 등을 통해 더 큰 유무형의 가치를 만들 수 있는 관리법이 무엇인지, 우리는 역사적 사례와 사건, 인물을 중심으로 배우며 더 나은 판단을 해볼 수 있다. 악착같이 돈을 벌어서 자신 만을 위해 사용하거나 부를 권력으로 악용한 사람들이 있는 반면, 철저한 나눔과 빈자를 도우면서 사람의 가치를 계속해서 중시하며 살아간 부자들도 존재한다. 물론 무조건적인 비교나 구분, 선과 악의 개념구도를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2/pimg_7884981893241839.jpg)
특히 자본주의가 당연한 가치로 통용되는 현대사회에서 부자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도 무리일 수 있고, 사람은 워낙 상대적인 존재라서 입장차이, 소유의 격차에 따라 전혀 다른 선택을 할 수도 있고 윤리나 도덕 등의 개념보다는 현실적인 부분, 법해석의 여지로 인해 전혀 다른 해석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서 책을 본다면, 책에서 언급된 인물들이 왜 지금까지도 인정받거나 모범적인 부자로 평가받고 있는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진짜 부자는 사람의 가치를 추종했고, 어설픈 부자는 돈과 이윤에만 매몰되어 많은 것을 얻기도, 혹은 모든 것을 쉽게 잃기도 했다는 점을 알게 된다.
상대적으로 유교 문화가 강했던 조선시대, 그리고 성리학적 가치나 양반 중심의 사회상, 철저히 외면했던 해금정책이나 상업 및 기술에 대한 천시로 인해 조선부자라는 용어 자체가 낯설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나 시대를 관통하는 정신이 있었고, 부의 기준에도 여러 형태가 존재했으며, 부자들 또한 있었던 사실에서 우리는 교훈적 메시지를 얻어야 한다. 당시의 사회상, 시대정신, 사람들의 정서, 부자들의 기준이나 마인드를 직설적으로 배울 수 있는 이 책을 통해 부자들은 어떤 마인드로 세상과 사람, 물질적인 요소를 바라보며 대응해 왔는지, 그 의미에 대해 배우며 판단해 보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2/pimg_788498189324184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