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먼저입니다 - 관계의 안전거리에서 자기중심을 찾는 바운더리 심리학
네드라 글로버 타와브 지음, 신혜연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이 힘들어도 사람이 좋으면 버틸 수 있다는 말이 존재한다. 이처럼 우리는 복잡한 세상 만큼이나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어떻게 대처하거나 나름의 전략적인 처세술을 통해 원만한 관계 유지 및 소통의 자세를 견지해 나가야 하는지, 이 또한 배워야 한다는 의미가 조금 슬프기도 하지만, 결국 나를 위한다는 마음과 자세가 있거나, 필요하다면 활용하겠다는 마인드의 전환을 통해 인간관계에 대해 재정립, 재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도 이런 관점에서 관계의 심리학을 말하며 더 나은 개인의 삶에 있어서 필요한 전략이나 관계술이 무엇인지, 이를 표현하고 있다. 


항상 가까운 가족이나 지인이 더 말썽인 경우가 많은 인간관계의 문제점, 적당한 거리감이 있다면 굳이 안봐도 무방하지만 매일 마주하게 되는 사회생활 속에서 마주하는 사람들, 또는 내 가족과 친구, 지인, 애인 등은 전혀 다른 개념의 접근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희생과 책임감으로 인해 모든 것을 배려하거나 양보, 또는 존중의 자세로 일관성을 보였다면, 상대가 나를 존중하지 않는 느낌이나 무례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면 전혀 다른 자세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예의로 볼 수 있고 가장 기본으로 보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상호작용과 소통의 의미를 안다면 왜 관계에 있어서 존중과 배려가 필수적이며 가까울수록 이런 경계를 쉽게 넘나들거나 허무는 사람들의 태도에서 불필요한 마음의 상처를 받거나 혼자서 고통스러워 하기보단 똑같이 대하거나 적절한 대응과 선을 긋는 자세를 통해 더 나은 관계를 지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든 이들이 공감할 부분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점과 상황에 따라서 내 의도와는 무관하게 상대를 적으로 만들 수도 있기에 조심스러운 영역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단호함이 필요한 순간이 존재하며 때로는 유연한 대처나 부드러운 말투나 언행을 통해 상대에게 알려주는 행위가 더 중요할 수 있다. 


인간관계의 정답은 없고 때로는 나다움이나 자존감을 챙기기 위해 다른 이들로 하여금 오해를 사거나 부정적인 평가와 비난을 감내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를 두려워 하지 말고 용기있게 극복하거나 마주하는 힘 또한, 우리가 배움이나 경험을 통해 채울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나는 내가 먼저입니다> 이 책도 이런 점을 강조하며 나를 위한 처세술과 인간관계의 방법론, 관계의 심리학에 대해 현실적인 조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책을 통해 내 주변을 돌아보며 어떤 형태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 단절해야 하는지 읽으며 판단해 보자. 일상에서부터 활용할 수 있는 주요 가이드라인을 잘 제공하고 있어서 배우면서 나를 위해 활용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