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드 KIND - 아주 작은 친절의 힘
도나 캐머런 지음, 허선영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착하게 살아야 한다, 남에게 잘해야 나에게 업보로 돌아온다 등 우리는 격언과도 같은 이런 의미에 대해 다양한 생각을 하게 된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면서 사람들의 성향이나 감정, 표현의 수단 등도 진화하며 더 나은 자신의 결과나 자기만족을 위해 이런 가치들이 간과되거나 또 다른 누군가에게 악용되거나 이용된다는 생각으로 인해 말처럼 쉬운 가치는 아니지만, 그래도 우리는 친절의 힘을 통해 자신의 삶과 사회, 사람에 대해서 등 복잡하지만 반드시 거치거나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현상과 반응에 대해서도 일정한 관심을 갖고 어떤 형태로 활용할 것인지, 고민해 봐야 한다.


이 책도 친절의 힘인 카인드를 주문하지만 생각처럼 되지 않는 이유와 사람들은 왜 친절과 호의를 만만하게 보거나 자신의 사적 이익이나 욕심을 위해 악용하려고만 하는지, 이에 대해서도 판단해 보게 될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개인의 선택과 자율, 혹은 사회적인 정서나 문제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 점이라 무조건적인 답이나 혜안을 얻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친절의 힘을 경험한 분들이 대체적으로 좋은 반응과 과정, 나아가 결과까지 거둘 수 있다는 경험적 사례나 그래도 친절해야 부정보다는 긍정적인 상황이나 결과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다는 일반적인 주장이나 논리에 대해서도 우리는 판단하며 더 나은 삶을 위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친절은 개인의 삶, 또는 성향이나 성격적 요인,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나 행위 등으로 축약할 수 있다. 겸손의 미덕으로 볼 수도 있지만 친절은 최선의 공격이자 방어의 수단이 될 수도 있고, 심리적인 요소나 마음, 감정, 정서 등의 형태로 또 다른 파급효과나 나를 가치있는 사람, 더 나은 삶으로 살아가게 하는 생각과 자세를 갖게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상당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누구나 자신의 삶이 우선적이며 급변하는 사회나 시대상에 맞춰서 다양한 형태의 변화나 변형된 방법으로 살겠지만, 우리가 기본적으로 중시하는 가치나 정서적인 부분이 무엇인지, 그렇다면 어떤 결과에 도달해야 나를 위한 삶을 설계하며 살아갈 수 있는지, 이를 함께 생각하며 판단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또한 누군가에게 감사의 표현을 전하는 말 한마디의 힘, 협상이나 비즈니스 과정에서 중요한 대화의 기술이나 설득 및 경청의 자세, 결국 우리는 사회적인 관계를 통해 자신이 목적이나 꿈을 이루며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아무리 시대가치나 정신이 변해도 달라지지 않는 부분으로 볼 수 있고, 개인의 사업이나 창업, 혹은 일반적인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할 때에도 평가의 기준이 된다는 점과 나의 선한 영향력이 타인과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미칠 긍정적인 효과가 무엇인지, 이에 대한 판단과 변화의 자세가 우선되어야 한다. <아주 작은 친절의 힘 카인드> 를 통해 현실적으로 활용하며 나를 위한 더 나은 삶의 설계방안이 무엇인지 읽으며 판단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