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읽는 대화법
이시하라 가즈코 지음, 오시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개인이 느끼는 사회생활의 어려움, 누구나 각자의 방식 및 성향, 성격 등을 최대한 구현하며 살아가려는 심리, 결국 경쟁사회에서 따라오는 다양한 형태의 사람관계나 심리적 요소에 맞설 수 있다면 좋겠으나, 현실에서는 거절한다는 행위가 주는 부정적인 관념이나 심리적 압박은 상당한 수준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마지 못해서라도 받아들이기 마련이며 나의 거절로 인해 상대가 느낄 감정까지 고려하며 오히려 미안한 감정을 가지는 것도 어쩌면 자연스러운 반응이자 현상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하지만 계속 부탁만 하는 사람이 존재하는 반면, 거절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계속해서 악순환의 늪에 빠지게 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은 확실하게 선을 긋거나 거절의 의사표시를 진행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투에 주목하고 있는 점이나 부드럽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처세술, 내 생각과 입장을 단호하게 말하면서 스스로를 보호하는 형태의 태도까지, 우리가 일상에서부터 직장 등 다양한 공간과 장소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사례를 통해 풀이하며 관계의 심리학적 요소를 자세히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인 책이다. 센스 있게 말하는 거절의 기술, 처음부터 쉽진 않겠지만 계속된 관리와 반복된 노력을 통해 누구나 충분히 활용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상대의 기분이 상하지 않게 거절하는 법, 관계가 멀어지지 않게 거절 잘하는 사람의 유형, 거절 못 하는 호구가 되지 않는 법, 홀가분하고 후회하지 않게 거절 잘하는 법, 단호하지만 부드럽게 거절하기, 거절을 해도 찜찜하지 않고 거절당했는데 기분 나쁘지 않는 대화법 등에 주목하며 각자 비슷하면서도 다른, 그런 복잡 미묘한 상황에 대해 조언하며 왜 우리가 살면서 거절도 잘해야 하는지, 그 이유와 당위성에 대해 잘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무조건 내 성향이나 개성을 돋보이기 위한 수단이 아닌, 사회나 사람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려는 가장 기초적인 심리에서 발현된다는 의미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또한 가장 큰 심리적 요소로 볼 수 있는 두려움 때문에 마지 못해 부탁을 다 들어주는 사람의 경우 착하다는 일반적인 의미로 평가받거나 타인에 의해서 내 일은 아무 것도 하지 못하게 되는 그런 최악의 상황을 경험할 수 있고, 결국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곳에서 희생하거나 헌신하게 되는 부정적인 결과와도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더 이상 타인의 기분이나 감정에 좌우되지 말고 나를 위한 사고를 바탕으로 나부터 챙기는 개인주의적 성향의 강화, 이를 처세술로 표현하며 거절하는 힘을 키운다면, 지금보다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하거나 새롭게 발전시킬 수 있는 인간관계를 경험해 보게 될 것이다. <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읽는 대화법> 책을 통해 배우며 자신의 상태를 돌아보는 계기로 활용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