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 왕의 운명은 누가 결정하는가
김은주 지음 / 시대의창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실록에 대한 색다른 접근이 인상적인 책이다. 별자리를 통해 왕의 운명을 풀어내며 역사적 사건과 사실에 대한 연결성을 부각한 이 책은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새로운 관점에서 우리가 흔히 알던 조선시대 왕에 대해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책에서는 12명의 왕에 대해 별자리 분석을 통해 그들의 생애를 조명하고 있었고 각 시기별로 있었던 주요 사건과 왕의 치적, 패착 등을 풀어내며 지금의 관점에선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당시에는 운명이라는 용어에 대해 그들도 믿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생각보다 많은 영역에서 별자리와 각 왕들의 행동들이 상당 부분 일치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부터 순종 임금까지 언급하고 있으며 운이라는 용어가 단순히 스스로가 개척할 수 있는 범위인지, 또한 다양한 사건들에 등장하는 관련 인물들에 대한 왕들의 판단이 개인적인 부분인지, 아니면 감정적인 대응이나 자신의 현실을 부정, 또는 극복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적 행동이었는지 등을 조명해 볼 수 있다. 특히 태종 이방원과 단종의 경우에는 전혀 다른 운명을 갖고 있으며 스스로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개척했던 태종의 행동력, 반대로 단종은 무기력하게 무너진 느낌도 강하지만 나이가 어려서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비극적인 요소가 강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조선시대 최고의 왕으로 평가받는 세종에 대한 평가와 조선을 완성한 성종에 대한 언급, 최근 재평가를 받으며 무능한 왕의 대명사로 소개되는 선조, 똑똑했으나 불통의 토대로 인해 저평가 받았던 광해군에 대한 소개, 전혀 다른 선택으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려 했던 효종에 대한 언급, 균형의 왕으로 평가 받은 숙종과 조선후기 마지막 부흥을 이끌었던 영조에 대한 소개까지, 별자리가 그들의 성향과 일치했던 점도 있으나, 반대로 스스로의 운명과 삶을 개척하려고 했던 왕들의 행동까지, 무조건적으로 맞을 순 없지만 별자리가 주는 어느 정도의 일치성 등을 책을 통해 자세히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학 명리학, 운명학 등의 관점으로 볼 수도 있지만 저자는 별자리를 통해 성향과 행위, 왕들의 치적과 실패의 요소 등을 분석하며 조선왕조실록을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평가하며 우리들에게 새로운 질문과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 있다. 역사를 좋아하는 분들이나 잘 모르는 분들도 쉽게 읽으면서 인문학적 관점에서 배워볼 수 있다는 점과 그들도 한 인간에 지나지 않는다는 느낌, 왕이라서 할 수 있었던 점과 한계를 보였던 부분은 또 무엇인지,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는 왕들도 언급되는 만큼 <별자리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을 통해 읽으면서 역사를 조금 더 쉽고, 다른 관점에서 배우며 판단해 보자. 운명학이나 별자리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과의 만남도 인상적인 책이라 괜찮은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