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브랜딩 - 대전환 시대, 데이터는 어떻게 브랜드의 무기가 되는가
김태원 지음 / 유엑스리뷰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적인 관점에서 마케팅이란 어떤 대상이나 제품을 판매하는 행위, 혹은 이를 적절히 알리면서 이윤을 추구하며 동시에 영향력을 갖춘다면 이보다 좋은 조건과 결과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정보와 지식이 공유되는 시대에서 어설픈 마케팅은 부작용이나 반감효과를 낳고 이를 적절히 관리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브랜드화 한다는 것은 상당히 까다롭고 복잡한 절차가 따를 지도 모른다. 이 책의 저자도 이런 시대 흐름과 새로운 트렌드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더 나은 마케팅 기법이 무엇인지 독자들에게 말하고 있다.


기업의 관점에서는 경영전략과 혁신모델의 사례로 도입할 수 있고 더 나은 매출효과, 성장과 변화를 통해 추구할 수 있는 절대적인 수익이나 이윤에 집착하기 마련이며, 개인의 관점에서 나만의 영업력이나 브랜드화는 또 다른 부가가치를 낳거나 나와 비슷한 사람들로부터 경쟁에서 이기거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심도있게 생각하게 한다. 이처럼 우리는 어떤 업을 하더라도 따라오는 마케팅 효과와 능력에 대해 간과할 수 없으며 책을 통해 더 나은 인사이트가 무엇인지 알아보며 나를 점검하거나 더 나은 성장과 구체적인 변화를 위해 어떤 생각과 행위를 일치시켜야 되는지, 이에 대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갈수록 기업의 역할은 제한적인 느낌이 강하며 개인 단위의 크리에이터, 1인 미디어의 등장은 새로운 차원에서 경영관리를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누구보다 발 빠르게 대응하는 능력,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고객의 관점에서 그들은 무엇을 원하며 어떤 방향성을 갖고 영업과 세일즈, 나아가 마케팅이란 영역을 정의하고 있는지, 또한 빅데이터의 시대에 맞는 정보와 지식의 재활용, 재탄생은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질서나 가치에 대해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결국 브랜드화, 적절한 이미지, 여기에 따라오는 긍정적인 광고효과, 홍보전략 등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시도하는 전략화, 변화를 추구하지만 실무적 상황이나 비즈니스 조건에 부합하는지, 또한 협업의 가치나 개인 단위의 역량 표출, 이를 결과로 이룰 수 있는 방안은 또 무엇인지, 저자는 사람의 가치를 중요시 하며 이는 마케팅에 있어서도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조건이 된다. 사람들에게 인정받아야 성공하는 사회, 그 인정을 받기까지 얼마나 치열하게, 혹은 전략적인 판단과 운영관리를 해야 하는지, 책을 통해 배우면서 판단해 보자. <데이터 브랜딩> 효과를 통해 누리거나 이룰 수 있는 단위에 대해 상세히 배울 수 있는 책이라, 관련 분야 가이드북으로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