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사 - 볼가강에서 몽골까지
피터 B. 골든 지음, 이주엽 옮김 / 책과함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기준과 평가가 존재한다. 하지만 세계사라는 의미가 동아시아의 역사와 서양의 일부 역사를 위주로 소개하며 서구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 의미가 강하며 이를 우리는 받아들이며 세계사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이는 세계사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봐야 더 큰 의미를 이해하며 역사의 흐름과 여기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의미와 교훈적 메시지를 우리가 현실적으로 답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이 말하는 의미도 명확하다. 우리에게는 실크로드라고 불리는 지역에 대해 그들의 정서와 관점에서 바라보는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대중적 관심이 적은 지역을 집중 조명하며 중앙아시아에서 발원했던 다양한 민족과 문화, 종교,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사적 흐름에 그들이 미친 영향력과 효과에 대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책에서도 단순한 실크로드나 비단길 따위로 역사를 쉽게 정의하지 않는다. 그들 지역을 차지했던 초기 유목민족의 성향과 특성을 소개하며 책의 소개를 시작하고 있다. 





초기 유목민들에게는 전쟁이 삶이었고 그들의 업이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리에게는 친숙한 돌궐에 대한 언급, 이를 계승한 국가들의 존재, 이런 과정에서 탄생한 이슬람 세력의 도래, 그리고 투르크계 민족들까지, 여전히 그들의 후손들이 그곳에서 자리를 잡고 있고 새로운 역사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물론 변수라고 볼 수 있다면 동아시아의 몽골 세력들의 발원으로 볼 수 있고 몽골은 세계사적으로 봐도 동서양을 관통하며 모든 영역에서 절대적인 기준이 되며 엄청난 영향력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새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그저 그런 세력들과 민족, 국가들로 정의하는 경향이 강한 지역 또한 바로 중앙아시아 지역이다. 하지만 그들의 지리적 특징과 민족, 종교, 문화를 이해하며 세계사를 바라본다면 국제정세나 지정학적인 역학관계, 역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의미와 교훈적 메시지들을 쉽게 공부하며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도 이런 취지를 바탕으로 다소 생소한 중앙아시아의 역사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책이다. 읽으면서 우리와의 상관관계도 그려볼 수 있고 세계사적인 관점에서도 더 크게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중앙아시아사> 를 통해 읽으면서 새롭게 다가올 수도 있는 역사적 판단과 해석에 대해 배움의 시간을 가져 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