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얼굴의 무궁화 - 국가상징 바로잡기
강효백 지음, 김원웅 감수 / 이담북스 / 2020년 6월
평점 :
절판
국가를 상징하는 국화에 대한 논란, 우리는 이런 의미를 매우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역사에서나 등장했고 굳이 개인들이 이런 가치에 대해 알아야 하는지, 혹은 전문가들이 알아서 한다고 말하는 분들도 있지만 요즘처럼 역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확산된 시기에 국화에 대한 논쟁을 매듭지고 더 나은 미래나 가치를 향해 나아가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 책은 상당한 무게감을 갖고 있다. 국가상징 바로잡기라는 직설적인 표현을 통해 무궁화에 대해 사실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우리의 고유한 꽃도 아니며 일본의 상징성이 더 강한 무궁화가 왜 국화가 되었는지, 얼마 전 광복절 기념사에서 나온 애국가 논란이나 친일이냐 반일이냐의 역사적 평가와도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무궁화는 일본이 치밀하게 확장시킨 꽃이며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꽃으로 무궁화, 국가를 상징하는 국화로 받아들이며 굳이 관심을 갖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당장의 혁신적인 변화는 불가능할 지 모른다.
하지만 역사적 판단과 사실에 입각해 이런 현상에 대한 논란에 관심을 갖는 자세가 우선되어야 한다. 우리가 겪었던 일제치하의 역사, 항일투쟁의 역사, 누군가들의 전유물도 아니며 우리 국민 모두가 이 같은 문제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며 잘못된 것이 있으면 바로 잡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우리가 겪은 일제치하의 세월이 길었던 만큼, 일본은 우리를 철저하게 밟으려고 했을 것이다. 많은 부분에서 일제의 잔재가 청산되며 바로 잡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일제의 잔재를 곳곳에 남아있다.
어쩌면 우리가 가야 하는 미래 지향적인 마인드나 국가관, 국민들이 느끼는 역사에 대한 의식이나 변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해석의 기준에서 가장 먼저 의문을 제기하며 바라봐야 하는 문제가 아닌가 싶다. 무궁화를 통해 바라본 당시의 시대상이나 일본 제국주의가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게 얼마나 큰 피해와 치욕의 역사를 제공했는지, 그들의 반성없는 태도와는 별개로 우리 스스로가 관련 문제에 대해 올바른 의식을 갖고 대응해야 할 것이다. 두 얼굴의 무궁화, 다소 무거운 주제지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깊이있게 읽으며 판단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