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비 온 뒤를 걷는다 - 눅눅한 마음을 대하는 정신과 의사의 시선
이효근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4월
평점 :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들은 스스로의 신념, 경험에 의해 서로 다른 성향이나 성격을 표현하기도 하며 때로는 갈등이나 타협 등 한 치 앞도 예상하기 힘든 세상에서 나름대로의 방법론을 택하며 살아간다. 이 책도 그런 의미에서 독자들에게 전혀 다른 관점, 역발상을 생각하게 할 수도 있고,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느끼는 거부감이나 편견의 시선이 또 다른 누군가를 외롭게 하거나, 삶을 무의미하게 할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정신과 의사의 관점에서 조현병 환자를 돌보는 기분, 물론 직업적인 사명감이나 물질적인 보상, 나름의 의미부여를 통해 버틴다는 의미가 강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람마다 추구하는 인생관이나 가치관이 다르듯, 우리는 너무 편협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선 안 될 것이며, 항상 배운다는 자세, 내가 틀릴 수도 있고, 다르게 해석 할 수도 있다는 인정의 자세를 겸하면서 책을 바라보길 바란다. 항상 현대인들은 효율성과 실용성, 물질적인 결과의 만족을 중시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이들이 이런 가치에만 매몰되는 것도 아니다.
물론 의시라는 사회적 명망이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남들이 쉽게 하지 못하는 분야를 경험하며 어떤 의미로 사람의 가치를 해석하는지, 정신과 의사에겐 지나가는 또 다른 사람 일 뿐인지, 아니면 정말 소중한 사람 그 자체를 바라보며 삶을 말하거나, 독자들에게 공감되는 메시지를 전하려고 하는지, 책을 통해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가볍게 보기에도 무난한 에세이집, 요즘과 같은 시기에 잘 어울리는 책이며 항상 사회적 약자나 고독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겐 든든한 버팀목이 되는 존재, 책의 의미가 인문학적 가치를 제대로 전달하고 있다.
누구나 자신의 의견과 주장만 말하며, 하나라도 더 가지려는 자본주의적 가치와 당연스러운 정서, 이런 외형적 판단이나 물질 만능주의적 사고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가 건강하며 더 나은 방향성으로 갈 수 있는 것도 이런 소소한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가능 할 지 모른다. 항상 하나의 관점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거나, 편견으로 사람들을 오해하지 말고, 다양한 해석이나 인정하는 자세를 통해, 삶의 교훈도 얻고 나에게 필요한 인생 메시지나 행동적 자세는 무엇인지, 책을 통해 배움의 시간을 가져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