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_일을 쓰는 여자 - 우리는 어떻게 더 인정받고, 전보다 덜 흔들리면서, 마음껏 성장할 수 있을까?
마셜 골드스미스.샐리 헬게슨 지음, 정태희.윤혜리 옮김 / 에이트포인트(EightPoint) / 2020년 2월
평점 :
품절
여성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양성평등 사회를 주창하지만, 현실은 매우 냉정한 법이다. 물론 완벽한 제도나 대안적인 모델은 존재할 수 없고,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하나로 규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물론 사회적으로 여성들은 보호받을 수 있고, 자기 힘으로 성공을 이룬 여성들도 많아지고 있기에, 이 문제를 남녀차별이나 역차별적 시선으로 바라보기보단, 우리가 알지만 침묵하는 문제나 편견에 대해, 어떻게 맞서며 살아가야 하는지, 책을 통해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오히려, 여성이기에 미래가 있고, 여성이라서 더 잘할 수 있는 분야의 선택이나 내가 여자라서 안된다 등의 패배의식에서 벗어나, 구체적으로 어떤 삶을 그리며, 나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이 책은 긍정적인 미래를 말하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선택과 집중을 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당장의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미래를 그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 여성들 뿐만 아니라, 책을 접하는 다양한 독자들도 공감 할 만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고, 이는 자기계발과 성공학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가 될 것이다.
미래에 대한 준비나 계획, 개인마다 선호하는 삶의 방식이나 성공의 기준은 달라도, 어떻게 살아야 하며,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감은 누구나 갖고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을 통해 채울 수 있는 부분이나 나의 노력으로 극복 할 수 있는 성과나 과정, 결과에 대한 좋은 반응까지, 그리고 대인관계에서 오는 어려움을 좋은 영향력이나 도움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인지, 사람을 통해 서로에게 좋은 효과를 준다면, 삶을 살아가는 의지나 용기도 같이 생길 것이다.
때로는 나를 위한 개인주의가 필요하며, 협업의 가치를 구현하며, 더 멀리 나아가는 인내심도 중요한 것이다. 여성학에 대한 사람들의 공감과 관심이 높아진 요즘, 이 책은 적절하게 출판된 책으로 보이며, 여성들을 비롯해, 여성을 이해하며 함께 하고 싶다는 열린 사고를 가진 분들에게도, 책이 주는 느낌이 괜찮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문제, 개선되지 않는 차별과 분노, 이를 초월하는 혐오의 시대, 이제는 우리가 진지하게 성찰하며, 서로가 또 다른 합의점이나 미래를 그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읽어 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