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문제 - 1천만 채의 충격
마키노 토모히로 지음, 김현진 옮김 / 월페이퍼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가장 현실적인 문제이며, 개인들이 고민하는 부분, 바로 부동산이나 집과 관련된 정책이나 이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들일 것이다. 이 책도 빈집문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위험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특히 우리의 미래라고 볼 수 있는 일본사회와 일본경제, 그리고 그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통해, 반면교사의 계기로 삼을 수도 있고, 늘어나는 수도권 집중화, 지방도시의 인구감소, 시골이나 농촌의 소멸 등은 매우 현실적인 문제라 제대로 관심을 갖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

많은 분들이 교양 프로나 다큐를 통해 접했을 것이다. 농촌이나 시골의 고령화, 인구감소로 인해 도시 자체가 소멸한다는 소리를 말이다. 이미 우리나라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아무리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며 인구유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젊은이들은 도시로 떠나며, 이 도시로 몰린 인구의 경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으로 쏠리는 현상이 빗어지고 있다. 현실적인 직장이나 일자리 문제로 인한 것이며, 이는 지방도시의 정체현상이나 인구감소 등으로 이어지며, 많은 사회적 문제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책에서도 일본의 사레를 집중적으로 언급하며, 늘어나는 빈집은 현실적인 부분이며, 자칫 도시의 슬럼화 현상으로 인해, 기존에 살던 사람들까지 이주하거나 떠날 생각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나 또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시재생이나 새로운 사업화, 대안책으로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나름의 조언을 함께 말하고 있다. 물론 정책적 발의나 실행의 과정을 통해, 결과를 말하려면 일정한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알고, 우리도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며, 저출산 문제, 지나친 수도권 과밀화 현상으로 인해, 이런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서 큰 사회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인구의 비대칭, 감소현상은 결국 사회적 인프라나 시스템에도 큰 영향을 주며, 늘어나는 빈집은 사람들로 하여금 해당 지역을 방치하거나 떠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당장의 정부지원이나 각종 복지정책도 중요하지만, 이런 문제를 받아들이면서도, 현실적으로 상생하는 방법론이 필요할 것이며, 개인이 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적인 만큼, 다양한 단체나 사람들이 공동체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의 미래로 볼 수 있는 일본경제나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점, 그들의 사례를 참고해서 적극적으로 벤치마킹 하거나, 버릴 요소는 과감히 버리는 그런 현실적인 선택이 필요하며, 이는 가까운 시일 내에 우리에게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올 것이다. 관련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평가, 책을 통해 접해 보길 바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