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부팅 - 지친 ‘나’를 채우는 재충전의 기술
전옥표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9년 8월
평점 :
힐링이라는 말이 일상에 스며든 것도 오래 전 일이 아니다. 그만큼 현대인들은 지쳤다는 의미가 강하며, 어떤 일을 하더라도, 따라오는 경쟁이나 결과나 실적에 대한 압박감이 상당하다는 의미이다. 이 책은 이런 가치에 주목해, 힐링과 휴식, 나아가 재충전을 통해 어떤 가치에 주목하며, 자기성장이나 경영에 활용할 것인지, 휴식을 통해 얻는 새로운 삶에 대한 가치나 주관적 해석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물론 사람은 기계가 아니라서, 쉼없이 달려갈 수 없고, 일정한 휴식을 통해 재충전을 해야, 더 나은 결과나 성과를 만들 수 있다.
모두가 알지만, 행하기 힘든 가치, 내가 쉬는 동안 누군가가 치고 나가지는 않을지, 혹은 내가 도태되는 것은 아닌지, 하는 막연한 두려움이 존재해서 그럴 것이다. 물론 맞는 말이다. 하지만 자기경영이나 삶의 관리를 행할 때, 일관성있는 자세도 중요하지만, 확실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더 멀리 갈 수 있는 에너지를 비축하는 것도 하나의 능력이자 노하우가 될 것이다. 성공한 사람들의 배부른 소리나 자기자랑적 사례분석이 아닌, 왜 그들은 이런 가치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우리는 생각해야 한다.
또한 많은 일을 하려면, 혹은 하나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추려면, 인내하는 힘도 중요하지만, 스스로를 내려놓거나, 쉬어가는 리듬조절도 중요하다. 반복적인 업무로 인해 지칠 수록, 이런 가치나 의미에 공감하며, 실제 행동으로 따라하는 그런 관리론도 필요할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얻거나, 가까운 미래를 대비하는 자기관리의 새로운 접근법, 혹은 방법론에 대해서도 성찰하거나 고민할 수 있는 것이다. 누구나 완벽한 계획을 통해 실행하려 하지만, 생각처럼 쉽지 않고,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렇다면 기존의 방법에서 보다 자유롭지만, 확실한 의무를 부여하는 새로운 자극요소, 혹은 휴식과 재충전을 통해, 어떤 결점이나 단점을 극복할 것인지, 결국 스스로의 선택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저자도 내적인 영역인 감정이나 마음관리부터, 외적으로 중요한 실행이나 행동력, 모두를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조직과 사람관계, 업무의 효율성을 함께 그리며, 나를 위한 삶의 설계를 말하고 있어서, 어떤 분야에 있더라도, 재충전의 의미를 배우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리부팅이 무엇인지 만나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