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은 어떻게 신화가 되는가
황교익 지음 / 지식너머 / 2019년 8월
평점 :
맛 칼럼니스트로 방송활동도 많이 저자의 이야기다. 누구나 아는 인물이지만, 해당 저자에 대한 편견이나 부정적인 시선이 존재할 수 있고, 반대로 매우 친숙하게 느끼면서 좋아할 수도 있다. 좋고 싫음에 대한 구분이 아닌,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이 책을 접한다면 매우 일상적으로, 친숙하게 다가올 것이다. 한식을 중심으로 다양한 재료와 음식에 대해 말하면서, 지역별로 상이한 음식문화, 나아가 문화이론과 음식 = 정치를 말한다는 공식으로 소개되고 있다. 물론 사람 사는 세상에서 정치는 늘 존재하며, 과거에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우리가 정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건, 사람에 대한 불신이며, 결국 인류가 문명을 이루면서 성장과 번영을 추구한 결과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음식과 재료, 혹은 요리에 대한 생각, 가깝게는 오늘 뭐 먹지? 밥상문화에 대한 재밌는 해학과 소개를 통해 저자가 말하는 음식인문학, 밥상인문학의 가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채소에 대한 언급도 눈길을 끌며, 한민족의 역사를 간략하게 언급하며, 지역별로 다른 식문화에 대한 소개도 인상깊게 다가온다.
어쩌면 우리 모두가 맛에 길들여지면서, 혹은 현대사회에서 말하는 광고효과나 홍보수단으로 특정 음식에 대해 익숙해지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맛에 대한 평가도 비슷한 흐름으로 이어진 것이다. 물론 개인마다 다른 성향이나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혹은 가치관의 유무가 존재하지만, 결국 한식을 비롯해, 다양한 음식이 갖는 의미는 사람 그 자체에 있고, 결국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이나 미래를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사회활동을 한다는 점, 결국 대립과 갈등으로 촉발되는 부정적인 과정이 존재하며, 이를 우리는 유연하게 넘기면서, 나를 위한 방법론, 혹은 더 나은 대안은 없는 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질 것이다.
책에서 말하는 저자의 독특함이나 생각보다 음식을 통해 말하는 가치관의 다양성, 이를 통해 대중들이 선호하거나 열광하는 니즈가 무엇인지, 저자는 매우 잘 파악하고 있다. 항상 어떤 사건이나 인물, 변화로 시작되는 트렌드 현상이나 새로움에 대한 갈망이 낳는 다양한 결과물들, 우리가 늘 접하면서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작은 변화나 발견을 통해 이뤄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스친다. 음식을 주제로 말하는 저자의 다양성과 시대변화에 맞는 요리의 진화과정, 이를 통해 알게 되는 사람에 대한 생각과 평가들, 책을 통해 만나면서 가볍게 즐겨보자. 생각보다 괜찮은 메시지를 제공하고 있어서, 유용한 책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