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아 역사학자 유 엠 부틴의 고조선 연구 - 고조선, 역사.고고학적 개요
유리 미하일로비치 부틴 지음, 이병두 옮김, 유정희 해제 / 아이네아스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최근 역사적 기념일도 많고, 관련 행사, 그리고 계속되는 일본의 역사왜곡과 부정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역사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졌고, 자칫 너무 뻔한 이야기나 지루할 수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항상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적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역사가 정치에 악용되거나 왜곡되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우리의 근현대사가 그랬고, 조선시대 역시 입장차이가 존재하기에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더 예전의 시기로 올라가서, 우리가 항상 단면적으로 배우는 고대사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물론 이 책은 고조선이라는 우리민족 최초의 왕조국가를 소개하며, 한국상고사, 상고사 자체에 대한 의미부여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던 역사적 사실과는 조금 다르다는 사실을 접하게 된다. 특히 이목을 끄는 것은 외국인이 바라본 우리 역사에 대한 자료수집과 분석이라는 점에서 특별하게 다가온다. 물론 러시아 역사학자이지만, 그가 자란 생애나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할 때, 다양한 한국인들을 만나면서 한국과 한국사 자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자신의 직업적 의식을 완수한 느낌도 강하지만, 항상 역사를 바라볼 때, 한 학자의 말만 맹신해서도 안되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가 고조선을 비롯한 상고사에 관심을 갖고 있냐 일 것이다.
너무 오래된 시기라서, 자료수집이 어렵고, 남겨진 유물이나 유적지 또한 우리가 직접 답사를 할 수 없다는 한계, 그래서 멀어진 느낌도 강하지만, 고조선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많고,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로 이어질 수 있는 점에서 학자들도 조심하는 측면이 강한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 책은 외국인이 바라보는 고조선이며, 이를 매우 중립적이며, 최대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결과를 만들려는 그의 노력이 보이며, 우리도 함께 관심을 갖고 고조선사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역사을 잘 모르는 분들이나 초보 입문자의 경우에는 상당히 어려울 수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어쩌면 우리가 알고 있던 고조선이 아닌, 전혀 다른 개념의 고조선으로 다가올 수도 있고, 해석에 따라는 광의의 역사를 포함하는 매우 거대한 사실이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역사는 완벽한 해석이 불가능하며, 보는 이의 수준이나 관점에 따라 다른 부분을 인정하며, 공격의 대상이 아닌, 서로를 존중하는 자세를 갖고 이 책을 바라봐야 할 것이다. 또한 역사와 정치를 혼돈해선 안되며, 항상 사실에 입각한 판단과 관련 역사공부가 중요할 것이다. 새로운 관점으로 만나보는 고조선, 책을 통해 더 깊이있게 배워 보자. 여전히 조사와 연구가 필요한 시대라서, 흥미롭게 다가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