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2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이 주로 음모의 시작, 문제의 발견으로 마무리 되었다면, 2권에서는 본격적인 주장과 대립, 갈등적 요소가 부각된다. 모든 책들이 비슷한 흐름으로 이어지듯, 이 책도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직지에 대한 주장과 금속활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명분과 이익이 무엇인지, 또한 어떤 경로를 통해 우리의 직지가 서양으로까지 흘러가게 되었는지, 현실에서 말하는 역사적 사실과 소설에서 말하는 스토리가 제법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며 직지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도 좋지만, 따로 공부하며 역사적 사실을 배우고 싶다면, 다른 책들을 활용하며 참고하길 바란다. 그리고 처음에는 거부했던 혹은 아니라고 반박만 했던 그들의 주장은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우리의 노력으로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고, 더불어 한글의 우수성과 우리 민족의 장인정신과 과학적 수준을 인정받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릴 순 없으나, 매우 흥미로운 스토리가 있다는 점은 말하고 싶다.


배운 사람은 억측을 부리지 않고, 불필요한 인종차별이나 우월의식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면을 채우려 하지 않는다고 했다. 서양 사람들도 분명 지식이 있고, 양심이 있는 사람들이 있듯이, 세상 어딜가나 사람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사람의 도움을 통해 전혀 다른 돌파구를 찾기도 하는 것이다. 책이 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지나친 편견과 일방적인 주장에 매몰되지 말자는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우리의 것이 세계적인 것이며, 항상 자부심을 갖고, 지키며, 혹은 발전시켜 나가야 함을 말하고 있을 것이다.


책도 최초라는 단어나 시기에 집착하지 말고, 과학적으로 어떻게 이런 성과를 그 시대에 이룰 수 있었는지, 우리는 배우고 또 배워서 조상들의 지혜를 수용하며, 급변하는 시대흐름이나 다양한 분야에서의 어려움을 우리가 돌파하며, 주도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항상 모든 일에는 문제나 갈등이 따라는 법이다. 책이 주는 전반적인 느낌이 그렇고, 결국 우리를 믿고 나아가는 그 자세와 일관성이 중요함을 느끼게 된다. 여기에 역사적 깊이를 더하고 싶다면, 관련 도서를 참고하며 역사적 사실을 배워보길 바란다. 김진명 소설답게 매우 흥미로운 점이 많았고, 현대적 관점에서 잘 풀어낸 책으로 평가하고 싶다. 많은 분들이 읽어 보길 추천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