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공의 공식 포뮬러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 지음, 홍지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6월
평점 :
성공에 대한 개인들의 생각, 혹은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집단이나 기업들의 평가, 각자 다른 기준과 보여지는 가치에 더 주목할 것이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성공을 연구하며 비슷한 정서나 흐름, 확실하게 드러나는 차별성에 더 주목하고 있다. 이 책도 성공을 갈망하는 다양한 주체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삶과 사회를 만들며, 개인들이 원하는 성공을 이룰 수 있는지, 성공 자체에 더 주목하며 우리가 생각하는 보편적인 가치나 정서, 사회적 합의나 질서 등을 언급하며 소개하고 있다.
물론 책이 말하는 방향성이 무조건 맞다고 볼 순 없지만, 결국 개인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함께 가야 더 큰 성공을 이룰 수 있고, 이렇게 만들어진 가치는 어떠한 위험이나 실패가 와도 버틸 수 있다고 말한다. 물론 개인간의 경쟁이나 다양한 주체들의 경쟁과 이기기 위한 전략을 무시하는 발언은 아닐 것이다. 혼자서 많은 것을 가지면 늘 문제가 발생하며, 인간의 본능이나 탐욕이 휘되어, 사회 전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적절히 관리하며, 모든 이들에게 돌아가는 기회의 균등이나 능력에 따른 확실한 성과와 보상 등 우리에게 필요한 가치를 함께 말하고 있다.
또한 재능과 노력이라는 각기 다른 기준을 비교하며, 사람들의 유형이나 살아가는 태도나 방식, 더 나은 성공이나 가치를 이룬 사람들은 이런 비교나 평가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많은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타고난 재능이나 능력이 있다면 매우 유리한 입장에서 더 많은 가치를 이룰 수 있지만, 세상은 말처럼 쉽지 않고, 모든 이들이 좋은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당장의 암울한 현실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차이점은 발생한다. 어떤 사고로 세상을 바라보며, 세상을 구성하는 사람들에게 다가갈 것인지, 각자가 부족한 점에 대한 배움이나 성찰의 시간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론적 측면이 강하다, 현실과는 괴리감이 있다고 저평가 할 수도 있지만, 이 역시 개인의 선택이며, 성공의 기준이나 가치, 결과에 대한 평가도 다르듯이, 보다 열린 마음으로 이런 가치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중요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개방성이나 유연성, 결국 개인이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기관리나 계발의 요건이 될 것이며, 성공을 바란다면, 이들이 말하는 가치에 주목하며, 나에게 적용시키는 연습을 하며 성장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시간이 오래 걸릴 지라도, 실패를 겪을 지라도, 항상 자신을 믿고 나아가는 힘, 때로는 우회해서 가더라도, 배움을 통해 채워나가는 마인드와 관리론이 중요한 것이다. 포뮬러를 통해 자기계발의 가치와 의미가 무엇인지, 배우며 성공의 법칙을 활용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