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때문에 상처받지 마라
강지연 지음 / 메이트북스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경쟁이 치열해서 인지, 아니면 원래 그런 성향을 타고나서 인지, 사람들은 항상 말로 인한 갈등이나 어려움을 호소한다. 누구든 가해자가 될 수도, 피해자가 될 수도 있는 사회, 그리고 조금은 예민한 한국사회의 모습을 바라볼 때, 개인이 할 수 있는 색다른 처세술이나 원만한 관계유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아무리 시대가 변했고, 사회를 구성하는 세대들이 달라졌지만, 기존에 남아있던 관습이나 문화는 무시할 수 없고, 회사마다 다른 기준이나 정서, 사람들이 느끼는 공동체를 위한 단합 등 개인이 힘들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를 인정하며 나에게 공격적인 말을 하는 사람이나 상사, 또 내가 부하직원이나 후임에게 이런 말을 습관처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두가 스스로를 성찰해야 한다. 이 책은 언어가 부르는 부정적인 요소나 갈등, 대립 등을 소개하며, 누구나 빠질 수 있는 오류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일이 힘들어도 사람관계가 좋으면 버틸 수 있지만, 반대의 사례에서는 불가능에 가깝다. 특정 리더나 임직원의 힘으로 바꿀 순 있지만, 결국 구성원 간의 화합이나 긍정적인 소통, 대화를 통해 그 틀을 깰 수 있기에, 개인들은 나름의 처세술에 주목해야 하며, 이 또한 배움의 과정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자리가 사람을 만들듯이,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다. 개구리가 올챙이 시절을 기억하지 못하듯, 세상이 너무 급변하며, 항상 경쟁심리가 작용해서 인지, 사회 곳곳에서 견제의 심리학이 발동되고 있고, 이는 사람들 간의 신뢰보다는 극단적인 개인주의나 성과 지상주의로 흘러가게 한다. 하지만 참으면 복이 온다는 말이 있고, 화가 난다면 그 순간을 빨리 벗어나거나 나름의 마음관리를 통해 잊는 연습이 중요하다. 모든 관계에서 사건을 막을 순 없어도, 어느 한 쪽이 더 큰 마음으로 넘긴다면, 시간이 지나 별거 아닌 것에 집착했다고 느낄 수도 있다. 즉 모든 관계는 말에서 비롯되기에, 항상 말에 신경쓰며 행동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물론 성향이나 성격에 따라 매우 어렵지만, 인생은 비우고 채움의 과정임을 생각하며, 나에게 집중하며 이성적으로 판단하려 노력하며, 상대가 왜 그런 의도로 말을 했는지, 이유가 있겠지나, 내가 더 큰 사람이 이니까 이해한다는 자기 합리화가 필요하다. 감정을 드러내는 것은 지는 것이며, 남에게 부정적인 말이나 악행을 습관적으로 저지른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늘 불행과 부정적인 업보로 되돌려 받을 것이다. 굳이 모든 것을 상대하며 착한 사람이 되기보단, 적절함과 적당함을 통해, 최대한 유연하며 긍정적인 분위기가 되도록, 관계에 있어서 약간의 섬세함만 발휘한다면, 결과는 달라질 것이다. 현실적인 대화법과 처세술을 배우며 활용해 보자. 많은 부분에서 배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