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넛 경제학 - 폴 새뮤얼슨의 20세기 경제학을 박물관으로 보내버린 21세기 경제학 교과서
케이트 레이워스 지음, 홍기빈 옮김 / 학고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롭게 조명받고 있는 가치, 정의에 대한 언급이 눈길을 끕니다. 경제와 정의를 함께 논하는 과정이 쉬운 것도 아니며, 사람들이 느끼는 반응이나 체감경기와도 멀게 느껴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저자는 경제이론, 경제현상, 활동을 어떤 가치로 이끌어 내야 하는지, 맹목적인 성장주의와 발전주의가 주는 폐해에 대해, 논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경제에도 위험성을 알리고 있고, 현대사회에서 글로벌화가 진행된 현재, 경제를 받아들이고, 정책적으로 수렴하는 과정이 달라지고 있다는 사실도 함께 말하고 있습니다.


돈을 버는 누군가가 있다면, 잃는 누군가도 존재합니다. 공생과 상생을 왜 이렇게 강조하는지, 어쩌면 모든 인류의 절대적인 생존권, 이익권에도 영향을 주는 경제에 대한 절대적인 가치와 기준, 하지만 돈이 무기가 되어, 왜곡된 자본주의 상황이나 독점적인 형태로 진행되는 일부 현상에 대한 고발, 정의라는 가치가 현실로 승화되려면, 우리는 어떤 관점으로 맞이해야 하는지, 다소 철학적인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하지만 공존경제, 공유경제의 활성화, 일반화를 통해, 인류가 인간성 상실을 막고, 나아가 자연파괴나 생태계적 순환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는 주장은 매우 유의미해 보입니다.


여전히 국가나 기업경제는 성장과 성과를 위한 방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대중들도 발전이 주는 풍요와 편리함에 빠져, 돈을 맹목적으로 쫓는 경향이 강합니다. 개인의 관점에서 부를 추구하는 시장질서나 법적장치는 매우 당연하지만, 개인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집단이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다고 볼 때, 유한한 자원상황이나 발전의 한계, 성장에도 명과 암이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새로운 대안이 필요해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결국에는 원형으로 되돌아 온다는 주장, 현실과 이상의 갭을 어떻게 줄일 것이며, 이를 위한 모든 주체들의 대타협이 필요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 때는 지나친 낙관론이나 이상주의로 꼽혔던 경제에 대한 새로운 해석, 정의와 경제의 상관관계, 이를 국가나 기업만의 문제로 남길 것인지, 아니면 다양한 단체들의 합심하여 새로운 트렌드화나 시장상황에 대한 변화,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위해 노력할 것인지 등 예전의 가치가 퇴색되지 않고, 오히려 주목받을 수 있는 상황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저서, 도넛 경제학이 아닌가 싶습니다. 자본주의가 낳은 병폐, 더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적인 과제입니다. 이 책을 통해 정의와 경제, 새로운 트렌드와 사회의 모습은 어떤 모습으로 구현될지, 접하면서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제를 새롭게 말하고 있어서, 색다른 느낌을 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