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는 돈의 흐름을 알고 있다
김종선 지음 / 메이트북스 / 2018년 8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26/pimg_7884981891990671.jpg)
경제를 정의하는 용어는 다양합니다. 사람들이 느끼는 현실경제, 체감경기부터 기업경제, 국가경제 등 그 단위와 방법론, 투자법도 다양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경제를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아닙니다. 경제와 돈의 상관관계, 투자와 수익성공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 관리해야 하는지, 여기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개인의 입장에서 경제를 완벽히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단, 경제를 공부할 수록, 실무적으로 큰 도움이 되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 나아가 원하는 부의 증식과 성공적인 돈관리 등 구체적으로 도움되는 점이 많습니다.
책의 저자도 이 점에 주목하고 있고, 돈과 경제의 공생관계, 상관관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서민들이 느끼는 경기변화, 불황과 호황의 차이, 물가와 임금, 가격동요나 정부규제 강화와 완화에 대한 단상 등 경제지표가 주는 의미분석, 통계를 간과할 수 없는 이유, 한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연관성, 글로벌 경제의 변화상과 기업들의 움직임 등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요점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큰 파도가 치면 모든 동요가 일어나듯, 경제도 순환적인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화폐나 재정을 보더라도, 힘있는 국가의 금리인상이나 화폐개혁, 경제규제로 인해, 이어지는 파도효과는 대단하며, 이는 우리의 생활경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물건이나 상품에 대해 투자를 한 경우에는 더욱 예민하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즉 경제변화와 현상예측은 돈에 대한 관심과 구체적인 관리, 경제의 구조와 어떻게 수익창출과 손해가 일어나는지 등 보다 복잡하고,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현상입니다. 누구나 돈의 가치를 알고, 돈관리를 외치지만, 잘못된 관리법이나 투자방향 설정의 문제, 작은 돈에는 목숨걸며 아끼지만, 의외로 큰 돈에 대해서는 묻지마식의 투자와 위탁관리나 위임을 통해, 방치하는 형태 등이 많습니다. 돈의 흐름을 알아야 하는 이유, 이 책은 쉬운 설명으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현상, 4차 산업에서 더욱 부각될 산업과 쇠퇴할 산업에 대한 언급, 무역전쟁으로 치닫는 세계경제의 패권다툼,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코리아패싱이나 코리안리스크, 북한의 존재 등 외부적인 변수에 대한 언급도 주목할 만합니다. 단순한 지표나 통계, 수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경제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나 재테크, 투자정보 등 다양한 관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는 만큼, 경제와 돈에 대한 관심에서, 구체적인 실행법이나 관리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 책을 통해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가이드북으로 유용해 보이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