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아, 넌 누구니 - 나조차 몰랐던 나의 마음이 들리는 순간
박상미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타인에게 엄격한 잣대로 평가를 합니다. 하지만 자신에게는 매우 관대한 자세로 일관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의 이런 오류에 젖어있고, 이는 관계를 형성, 소통이 요구될 때, 큰 장애물로 여겨집니다. 개인의 잘잘못을 따지자는 것이 아닌, 이런 복잡하고 어려운 관계, 사회생활이나 일상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사람에 대한 대인기피나 혐오, 스스로를 지키면서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없는지, 현실적인 고민으로 다가옵니다. 저자는 이런 마음의 복잡성, 어려움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절대 다수가 느끼는 관계의 심리학, 자존감 수업을 말하고 있습니다.
나도 모르는 내 마음을 평가하는 사람들, 예민도에 따라서 반응을 달라집니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고, 여기에는 공인도 자유롭지 못합니다. 우리는 베르테르 효과를 목격한 적이 있고, 내면의 가치, 심리적 요인, 마음관리가 왜 중요한지, 그 필요성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은지, 일단 나에 대한 관리와 집중, 스스로를 아끼며 자존감을 높이는 작은 실천과 습관이 중요해 보입니다. 나를 사랑해야 남을 사랑하며, 때로는 관용이나 포용을 통해, 건전한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배려하는 것도 최선은 아니며, 이는 상대에게 불필요한 권리나 오해를 줄 여지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관계를 모두 청산하고 산다? 인간이라는 본능을 안다면, 쉽지 않을 겁니다. 차라리 때에 맞는 방법적인 선택, 현명한 대응을 배우면서, 스스로 활용하는 방법, 진정한 의미의 힐링과 심리치료, 정신건강 관리가 될 것입니다. 때로는 감정에 솔직해지는 방법, 너무 이성적인 잣대로 들이대지 말 것, 인간미를 유지하며 타협의 여지는 없는지, 상황에 따른 대처법, 하지만 나를 잃지 않는 방법론, 누구나 처음은 서툴고 부족할 수 있습니다. 완벽하려는 심리, 완벽에 대한 일관성 추구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세상을 길게 보며 생각하는 태도, 이는 행동으로 드러나며, 나와 관계된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것입니다. 굳이 대응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침묵을 통한 무언의 암시, 반대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나 자신의 마음이나 심리상태에 대한 돌봄이 중요합니다. 인간은 누구나 본인이 제일 중요합니다. 이기적인 동물이라는 말, 이를 거부할 순 없습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적정선과 적당한 거리유지, 이를 통해 느끼는 감정의 환기, 이 책을 통해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힐링도서가 될 것입니다.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