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잡지 -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진경환 지음 / 소소의책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하면 생각나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유교적 질서, 사대문화, 성리학적 가치추구, 철저한 신분사회, 양반이 모든 것을 취했던 왕조국가 등 부정적인 이미지도 많습니다. 아무래도 우리의 마지막 왕조국가이며,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 일기등 다양한 기록유산이 많고, 조선후기로 넘어 올수록, 서민사회의 정착, 양반풍자나 다양한 소설이나 설화 등이 보편적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조선시대나 사회를 무조건적으로 비난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 역사에서 시대에 맞는 시대정신이 있습니다. 지금도 보수와 진보가 대립하고 있고, 더 나은 가치나 결과를 위해, 위정자나 지식인들은 논쟁을 벌일 뿐입니다. 중요한 것은 절대 다수의 서민들의 생각과 삶의 모습입니다.

또한 양반이라고 해서, 무조건 타락한 것도 아니며, 상인이나 농민 등 서민이라고 해서, 무조건 착한 것도 아닙니다. 부자나 권력을 가졌다고, 악으로 규정하는 것, 정말 무모한 설정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양반에 대한 찬양이나 비난이 아닌, 사실에 입각한 접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관점에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 양반의 자존심이나 체면, 상놈들이나 하는 짓이라며 항상 올곧음을 중시했던 양반들, 하지만 그들은 학문적 배움과 성숙을 통해, 시대를 읽는 눈이 있었고, 학문적 성장 만큼이나 노는 문화에도 일가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신분적 지위를 이용해, 악행을 벌인 사례도 많지만, 하나의 문화나 정서로 자리매김 시킨 것도 많습니다.

그들 스스로가 구축한 사회적 제도나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로 인한 강경한 보수정책, 폐쇄적인 구조와 질서유지를 외쳤습니다. 물론 실학자나 실용주의 노선을 선호했던 인물들도 있었지만, 현실적인 평등이나 백성들의 배움이나 삶의 증진을 위해서는 최선을 다하지 않았습니다. 기득권이나 권력이 왜 무서운지, 소소한 삶의 모습과 생활양식을 접하지만, 이를 토대로 당대의 사회나 질서, 추구하는 이상향이나 가치관을 알 수 있는 만큼, 아쉬운 선택도 많지만, 그들의 결정을 존중할 수 있는 문화도 많습니다. 유교적 정서, 성리학적 질서추구가 과연 실패한 정책인지, 모든 왕조가 흥망성쇠를 겪는 만큼, 자연의 섭리나 이치로 봐야 하는지, 확실한 정답을 내리기 어렵지만, 당시의 사회를 알 수 있다는 그 자체적 교훈이 더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풍류와 멋을 알았고, 자연을 받아들이는 태도, 그림이나 글로 남기려는 그들의 속성, 이를 통해 후손들에게 전해진 시대상과 자연을 경배하는 모습, 인간이기 때문에 해야 하는 가치가 무엇이며, 도덕이나 윤리, 가족관, 절대 간과하거나 거스를 수 없는 가치는 무엇인지, 한계도 명확하지만, 현대적 관점에서도 배울 수 있는 덕목이나 가치도 많습니다. 조선을 주도하고 이끌었던 양반계층, 단순한 악의 무리로 규정하는 일반화보다는 그들의 본모습과 죽도록 지키고자 했던 가치가 무엇인지, 역사를 이해하는 관점에서 새로운 면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조선의 잡지, 또 다른 기록이자 역사적 가치로도 평가받을 수 있는 만큼, 조선을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접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