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프랑스 지식인이 쓴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 - 18세기 초 프랑스 레지 신부가 전하는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
쟝 밥티스트 레지 지음, 유정희.정은우 해제 / 아이네아스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다양한 영화나 드라마, 사극으로 재탄생되어, 대중들의 관심을 받고 있고,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의 우리 역사왜곡으로 논란이 일고 있는 요즘, 우리가 알아야 할 역사가 또 있습니다. 바로 이 책에서 언급한 고조선과 고구려입니다. 상대적으로 고증이 부족하고, 전설이나 신화적 요소, 역사적 사료의 부족으로 알려진 정보도 적고, 제한적인 지식을 토대로 한국사에 언급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사학계에서 발굴의 노력을 취하고 있고, 다양한 학자들이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하며 역사적 갈등과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이나 기존 질서를 흔든다는 주장이 아닌, 상고사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역사의 중요성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는 겁니다.

이 책은 이런 점에 의미를 두고 있고, 우리나라의 기준이나 관점이 아닌, 18세기에 프랑스 지식인이 우리나라 역사를 연구하며 발굴한 성과를 토대로 제작되었습니다. 외국인이 본 그 시대의 한국, 나아가 상대적으로 기록의 보존이나 새로운 사건, 고대 왕조에 대한 사료적 보존이 있었을 배경 등을 고려할 때, 레지 신부의 주장을 간과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실제로 18세기의 주장이 20세기의 역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애국운동과 독립운동가, 교육가들이 이를 참고하여 국가의 흥망성쇠를 논하며, 대중들에게 많이 알렸습니다. 조선이라는 왕조가 몰락해가던 시기, 우리민족이 왜 이렇게 되었는지, 일제의 제국주의와 침략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던 시기, 단순한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엔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민족의 방파제 역할을 했던 고구려, 영토개척에 앞장 섰던 왕들도 많았고, 새로운 영웅이 등장해, 중국으로부터 한반도를 보호했던 위인들도 있었습니다. 단순히 영토개척에 성공했고, 요동이라는 교두보를 바탕으로 강건함을 보여준 것이 아닌, 동북아 전체의 패권을 놓고 중국과 자웅을 겨뤘던 나라가 바로 고구려입니다. 우리 교과서나 한국사에 등장하는 고구려에 대한 서술, 상대적으로 축소되었을 가능성도 높고, 현실적인 문제나 현재의 위치를 고려해, 중국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기 위한 우회적 표현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고구려는 생각보다 더 강대했고, 모든 문명의 중심지이자, 지금으로 봐도, 리더국가임은 틀림없었습니다. 중국인들은 늘 두려워했고, 고구려 정복을 최대 숙원사업으로 꼽았을 만큼, 절대적인 위치에 있던 나라가 바로 고구려였습니다.

또한 이들의 조상이자, 롤모델로 볼 수 있는 고조선, 단순한 중국 이민자들이 국가를 찬탈하고 한반도에 제한된 왕조국가를 세웠다는 주장, 이 역시 재평가가 필요해 보입니다. 고조선 관련 유물이 발견되고 있고, 지금도 학계에서는 고조선의 위치나 영토문제로 학자들의 대립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양심있는 중국학자들까지, 고조선이 더 넓은 영토와 지배력을 유지했던 왕국으로 보고 있고, 지금의 중국의 입장이나 위치를 고려해, 쉬쉬하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발췌한 고조선 역사연구가 우리의 기준이 아닌, 철저한 고증과 중국측 사료를 바탕으로 이뤄진 점에서 이 책은 매우 유의미한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조선의 멸망,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들에 의해 우리역사는 너무나도 제한적으로 변했고, 지금까지 식민사관이나 수정주의 역사의식으로 지나치게 겸손해진 측면도 있습니다.

이를 바로 잡고, 역사를 제대로 알고 알리기 위해선 관심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현실적인 합의와 역사적 발굴과 보존,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도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흐를 수록, 더 많은 사건과 인물들이 재평가, 재조명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의 상고사인 고조선, 그리고 이를 계승한 고구려나, 백제, 신라, 부여 등 다양한 왕조국가들에 대한 재평가도 이뤄질 것입니다. 단순한 판타지적 서술로 볼 수도 있고, 여전히 환빠라는 평가절하를 들으며, 소외 당할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역사에서 완벽한 기록은 있을 수 없고, 승자의 기록이라는 점, 그리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역사가 상당히 훼손되었다는 인지와 현재의 모습에 비춰서, 역사까지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점입니다. 논란도 많지만, 자체적 사실전달과 외국인의 관점에서 서술된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 이 책을 통해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해석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체적으로 상당히 수준높고, 배울 점이 많은 만큼, 역사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큰 보탬이 될 것입니다. 접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