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병주 교수의 조선 산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4월
평점 :
한국사에 있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조선사, 우리의 마지막 왕조국가이며, 지금까지도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조선사 평가에 있어서 긍정과 부정의 평가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사대주의에 얽매여서 민생을 챙기지 않았다, 이로 인한 국권피탈과 멸망의 길을 걸었다는 부정적인 입장, 반대로 문화적, 과학적 발전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업적과 높은 수준의 국가를 유지했다는 긍정의 입장, 사실 역사를 객관화시켜서 평가한다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긍정의 역사, 부정의 역사 모두를 살피며 현재의 관점에서 교훈을 찾고, 적용시켜야 할 것입니다. 조선사 전문가인 신병주 교수가 만든 조선 산책, 가볍게 혹은 진지하게 배우면서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조선시대는 철저한 계급사회였습니다. 양반이 모든 것을 지배했고, 철저한 구분과 계급적 제한을 통해 국가를 이끌어 나갔습니다. 물론 국란의 위기에서 나라를 지킨 것도 민초들이며, 그들 나름대로 변화를 갈망했고, 조선후기로 올수록 이런 사회적인 모순과 계급타파를 위한 움직임도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지키려는 위정자와 바꾸려는 민초들의 대결, 이는 역사적인 방향성과 지향점을 설정하게 되었고, 이상과 현실이라는 측면에서 굉장히 의미있는 모습으로 비춰집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있는 전쟁사와 관련 인물, 사건을 비롯해, 덜 알려진 역사적 사실, 재조명이 필요한 문화사, 과학사적 업적도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왕조국가답게 다양한 왕들이 있었습니다. 성군과 폭군, 그리고 이들을 뒷받침했던 왕족과 사대부들, 그들을 어떻게 볼 것인지, 무조건 오늘 날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역사는 원래 시대에 맞는 시대정신이 있고, 그 공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바람이나 삶의 모습에서 다양한 일들이 펼쳐지곤 합니다. 물론 보수적인 부분, 폐쇄적인 사회구조나 관례, 성리학을 바탕으로 철저한 유교지향적인 국가관, 다양성의 측면에서 매우 부족한 사회였고, 멸망을 자초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조선후기로 올수록 변화에 대한 인식이 다방면에서 드러났고, 워낙 내부갈등이 강해서 변화를 인지했지만, 변화하지 못했던 암울한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이할 점은 바로 기록에 대한 집착적인 풍습입니다. 모든 것을 기록하려 했고, 역사적인 사실에 입각한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앞선 시대인 고려시대보다 부족한 점도 많았으나, 그간의 역사를 계승하여 발전시키려는 노력, 알리려는 움직임도 활발했습니다. 하나의 사건이나 인물, 입장에서 조선사를 바라보기에는 한계가 많고,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 날의 관점으로 재해석된 부분도 많고, 멸망과정이나 일제강점기를 앞두고, 혼란스러웠던 국면, 왕족들을 중심으로 저항하며 바꾸려했던 노력 등 이 책은 조선사 전반에 대한 소개와 그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완벽할 수 없지만, 노력하며 움직였던 사실, 역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저자는 대중들에게 묻고 있습니다. 신병주 교수의 조선 산책, 접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견이 남아있는 조선사, 새롭게 다가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