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늦게 뜨는 아침 베스트 세계 걸작 그림책 43
필립 C. 스테드 지음, 에린 E. 스테드 그림, 강무홍 옮김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목과 함께 스토리가 너무나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농장에 사는 노새, 젖소, 조랑말이 해가 뜨지 않자 올빼미에게 질문을 던지러 간다. 그 이유는 조랑말이 마치 "올빼미는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잘 아는 지혜로운 조언자로" 생각하였나보다.

그래서 올빼미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인 닭장으로 일제히 몰려가 조언을 들었다. 그 조언에 따라 세 마리의 동물은 ‘세상 끝’에서 아직 자고 있는 해를 깨우러 간다니 이 얼마나 유쾌하고 모험심 가득한 두근거림인가?

마치 저 먼 곳에 있는 희망의 해를 깨우러 멋진 탐험을 이들은 생각해 내었다. 세상 끝으로 가려면 매우 용기가 필요한데 세 마리가 모여서 그럴까 두려움 없이 부서진 울타리를 넘어 미지의 세계로 출발한다. 그런데 노새, 젖소, 조랑말은 지금까지 농장 마당 밖으로 한 번도 나가 본 적이 없는 동물들이다. 조막만한 가슴으로는 감히 세상 끝으로 갈 수 있을까?

그곳으로 가기까지 그들이 지나쳐야 하는 난관이 있다. 키 큰 옥수수가 자라는 드넓은 벌판을 로질러, 잠자는 거인의 옆으로 조심스럽게 지나가야 한다. 잘못 했다가는 길을 잃을 수 있고, 잠자는 거인에게 붙잡혀 식사용으로 식탁에 오를 수 있다.

매우 조심히 그들은 출발하는데 올빼미는 중요한 동반자를 데려 가라고 한다.

바로 수탉이다. 세상 끝에 아직 쿨쿨 자고 있는 해를 깨우기 위해서는 '수탉'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 수탉이 울어야 해가 뜬다. 잠든 해를 깨우려면 수탉의 도움은 필수다.

올빼미는 이러한 지식을 잘 알고 있었다. 세 마리의 동물에게 그들은 솔로몬과 같은 조언자였다.

그렇게 세 마리의 동물과 수탉은 동반자가 되어 세상 끝을 향해 걸어 갔다.

이곳으로 가기 위해서는 정말 상당한 용감함이 필요하고, 희망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젖소는 동료들에게 이런 말로 용기를 붇돋운다.

“우리는 용감해져야 해. 어디서 이런 용기가 솟아났을까 싶을 만큼.”

인생을 살아가면서 우리에게도 난제가 있다. 난제 앞에 고민을 하며 언제 희망의 해가 떠오를까 깊이 생각한다. 그러나 때론 우리에게 올빼미와 같은 조언자가 필요하다. 그들은 세상 끝을 다녀 간 경험이 있으니깐 말이다. 그리고 우리의 잠든 마음을 흔들어 깨울 수탉과 같은 동반자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수탉은 언제나 잠든 해를 깨우듯 내가 인지 못한 내 안의 용기를 끌어내 주는 존재니깐 말이다.

수탉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을 테니까

우리 인간 안에는 세상을 향한 두려움을 조금씩 가지고 있다. 그럴 때 수탉과 같은 존재를 통해 안내를 받게되고 존재의 각성을 알아 차린다면 더없이 좋은 동반자가 될 것이다.

꼬끼오가 드디어 세상 끝에 가서 '꼬끼오오오오오!' 하고 울었다.

그래서일까? 낡이 밝았다. 농부 아주머니가 일어나 따뜻한 커피를 마시며 세상 끝에 가 있는 노새, 젖소, 조랑말, 수탉을 바라본다. 그런데 말이다. 기껏 세상 끝이 울타리 끝이었음을 보게 된다.

그런데 결론적으로 그들은 성공했다. 농장 아주머니가 잔뜩 아침밥을 챙겨주었기 때문이다.

마지막 그림은 인상적인데 해 안에 들어가 있는 세 마리의 동물이 열심히 먹이를 먹고 있다.

어쩌면 노새, 젖소, 조랑말은 저녁을 적게 먹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그들은 평소와 다르게 배가 많이 고팠고, 해가 뜨기까지 시간이 꽤 길어 보였다. 그래서 엉뚱하게도 등장한 올빼미의 조언을 따라 세상 끝에 자고 있는 해를 깨우러 수탉까지 동원하며 출발했는데 결국 주인이 쳐 놓은 울타리 안이었다. 고민하고, 걷고, 희망하며, 용기를 가진 그들이 얼핏 보면 우스워 보이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아침밥은 먹게 되었으니 이 보다 더 행복한 목적지는 없으리라!

사실 노새와 젖소와 조랑말의 여정이 농부 아주머니의 꿈과 중첩되는 후반부 장면을 보면 이 이야기가 정말 일어나는 것인지, 아니면 농부 아주머니의 꿈속인지 '즐거운 혼란'을 던져 준다. 그러나 동화는 해핑엔딩으로 마무리지어 보는 이들을 따뜻하게 정적인 감사를 느끼게 한다.

특히 표지 그림부터 시작해서 동화 속에 그려진 에린 E. 스테드 (Erin E. Stead)의 그림은 그 특유의 서정적이고 아늑한 삽화를 통해 몽상적이게 만든다. 그리고 시골 특유의 고요하고 고즈넉한 풍경은 물론 그 장소마다 느껴지는 냄새와 색감, 그 장소가 주는 소리까지 들리게 한다. 그래서 동물캐릭터들이 더 없이 사랑스러워 보인다.

어른에게는 어릴적 순수한 세계를 다시 떠오르게 하고, 동화를 읽는 아이들에게는 꿈과 희망과 용기를 주어 아이들이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본듯 뇌리에 남도록 해주는 귀한 책이다. 아이와 함께 읽으며 우리도 세상 끝을 향해 잠들어 있는 '해'를 깨우러 가자!!

-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도서를 협찬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