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하는 사람, 조광조
조성일 지음 / 시간여행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개혁'이라는 낱말과 떼레야 뗼 수 없는, 조선 중종 때 대사헌을 지낸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삶과 사상을 다룬 팩션(Faction)이다. 이 책을 통해 조광조의 개혁 정신을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살가죽이 벗겨지는 고통을 감내하며 개혁에 목숨 바친 그의 삶을 처음으로 독자는 마주하게 된다. 과연 이 시대에 그런 인물이 있을까? 개혁이라는 것을 외치는 현재의 정부 관료들도, 야당으로 밀려난 민주당도 개혁은 외치는데 그들에겐 개혁을 입에 담을만한 깨끗한 자가 보이지 않는다.

무엇을 위한 개혁을 추구하는지 국민들은 안다. 오직 자신의 당을 위한 것과 국민을 위하는 척하는 달콤한 개혁만이 나부끼는 형태다. 청문회를 해보면 괜찮은 인물 같은데 하나같이 구정물과 같은 모습이다. 오죽 했으면 '정치인들 똥은 개도 안 먹는다'는 말이 있겠는가?

전북 완주에 있는 우석대학교 문학창작학과 교수인 안도현 시인은 정치인들에 대해 시장에서 생선 고르듯 국회의원 출마자들을 고르면 그만일 텐데 쉽지 않은 이유가 “대다수 정치인은 다량의 방부제와 표백제를 몸에 칠하고 다닐 뿐 아니라 선거철만 되면 유권자의 코를 유혹하는 향수를 ‘징하게’ 뿌리고 다녀 ‘총체적으로 썩은 정치인들을 가려내기가 어렵다' 라고 말했다.

그러나 조광조의 모습은 이렇게 드러난다. 그는 학문에 뜻을 두었다가 관직을 추천받자 불공정하다며 과거를 보고 정정당당하게 벼슬길에 올랐다. 또한 서슬 퍼런 기득권층의 거짓 공훈을 삭탈했다가 목숨까지 내놓게 되는 양심적인 인간으로 그려진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기묘사화'라 불리는 사건이다.

어느 시대나 세상을 새롭게 개혁 하고자 할 때 반대의 세력에 부딛히게 된다. 개혁의 초점은 항상 기득권을 향해 서 있게 되는데 그들 또한 살아 남기 위해 저항과 더불어 갖은 모략을 통해 신진 세력을 위협해 간다. 얼마 전 TV 사극인 태조 이방원을 보니 개혁은 목숨을 내놓은 강단이 있어야 함을 알게 된다.

조광조가 조선시대 최고의 개혁가라고 불리는 이유는 중종반정을 통해 연산군을 몰아낸 후 당시 관료사회가 별 탈 없이 안정적인 정치생활을 하기 위해 너도 나도 몸을 사리기만 하던 시절이었는데 갑자기 등장한 조광조는 4년이라는 짧은 시간 만에 훈구파를 견재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며 큼직큼직한 개혁들을 이루어 낸다. 즉 1515년 중종은 사림파의 추앙을 받던 조광조를 등용해 소격서를 폐지하고 도승 제도를 폐지했으며 현량과를 실시해 사림 세력을 대거 등용하는 등 유교의 이상 정치를 목표로 개혁 조치들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역사는 재밌게도 사림 세력의 급속한 진출과 과격한 개혁 정치는 훈구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중종도 그들에게 불안과 염증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하여 1519년 남곤 · 심정 등이 기묘사화를 일으켜 이를 기회로 조광조를 사사하고 조광조에 의해 이룩된 개혁 조치들을 모두 되돌려놓게 된다.

개혁이란 돌맞을 각오를 하고 하는 것이리라. 남다른 강직함과 떡잎부터 남달랐던 그의 삶은 이렇게 허무하게도 끝을 맺었다. 휘어지느니 부러지는 것을 택한 조광조를 통해 우리 시대 필요한 개혁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는 기회가 되었다.

이 책은 특이하게도 역사 속에 있던 '조광조'라는 후손이 쓴 책이다. 조광조를 정암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저자는 대학 시절 은사의 부탁을 뒤늦게 실천하는 마음으로 가문의 선조인 조광조에 관한 책을 지금 써서 출판을 하였다. 애착이 많이 가는 책일 것이다.

현 정부가 들어선지 얼마 되지 않는 시점이다. 얼마나 제대로 된 개혁을 하며 국민들의 마음을 시원하게 할지 지켜보고자 한다. 그의 좌우명이 마음에 새겨진다. 현 정치인이나 우리들도 마음에 두고 새겨야 할 문장이다. 즉 ‘도를 밝히는 것[明道]’과 ‘혼자 있을 때를 조심하는 것[愼獨]’이 일생의 철학이며 그의 '삶' 그 자체였다.

그의 강직한 삶은 사약을 받을 때도 남달랐는데 사약을 마셨지만 쉽게 목숨이 끊어지지 않자 군졸들이 달려들기 전에 호통을 치며 이런 말을 했다. "임금께서 내 몸을 보존하고자 사사의 명을 내린 것이다. 너희들이 어찌 감히 이럴 수가 있는냐?" 하며 사약을 더 가져오라고 하여 한 사발을 더 마신 다음에 절명을 하였다. 향년 서른 여덟 살이었다.

아! 얼마나 젊디 젊은 나이며 안타까운 죽음인가?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 가운데 퇴계 이황의 말이다. 조광조의 <행장>에서 그는 세 가지 이유를 들어 그의 희생을 아쉬워 했는데 "첫째 불행은 등용되어 발탁된 것이 너무도 갑작스럽웠다는 것이고, 둘째 불행은 벼슬에서 물러나기를 구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는 것이고, 셋째 불행은 귀양 가서 일생을 마친 것이다."

그의 죽음에 하늘도 마음을 드러 내었는데 장례를 치르자 흰 무지개가 해를 둘렀는데, 동쪽과 서쪽으로 세 번, 남쪽과 북쪽으로는 각각 한 번씩 둘렀다. 그리고 저녁이 되자 길이 열자 남짓 한줄기의 무지개가 얼마 동안 있다 사라졌다고 한다.

이 책은 한 사람의 일대기지만 역사 속에서 우리가 어디를 향해 가고 있으며, 개혁이란 무엇이어야 하는 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책이라 생각된다. 아무리 좋은 개혁도 시대가 따라주지 못하고, 지지 세력이 없는 한 그 개혁은 한 줄기 시원한 바람 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런 시원한 바람이라도 불었으면 좋겠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