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거리고 소중한 것들 - 무례한 세상에서 자신을 지켜 낸 여성의 자전 에세이
게일 캘드웰 지음, 이윤정 옮김 / 유노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례한 세상에서 자신을 지켜 낸 여성의 자전 에세이"

삶 자체를 비롯한 삶의 모든 것이, 타인의 선의는 물론이고

타인의 덧없음에도 달려 있다는 사실 또한 기억해야 한다.

영원은 멀리 한 줄 기억 속에 흐릿해지도록 두고,

당신은 신기루를 향해 걸어가야만 한다.

p268

이 책이 눈에 띄게 된데에는 제목도 제목이지만 '버지니아 울프'라는 이름이 눈에 띄어서이다.

물론 버지니아 울프에 대해 많은 것을 아는 것은 아니지만 그녀의 삶을 보면 비애에 젖어있는 삶으로 점철된 한 여성의 모습이 보인다. 그녀는 삶의 끝을 '자살'로 마무리하였다. 여성으로서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이 과거만 아니라 현시대에도 어렵다는 것을 남성이지만 알게 된다. 나의 어머니가 그랬고, 내가 사랑한 할머니도 그러했으며, 지금 시대를 살고 있는 여성들도 그러하다.

그래서인지 소제목에는 이런 글귀가 나온다.

"무례한 세상에서 자신을 지켜낸 여성의 자전 에세이"

무례한 세상 가운데 우리는 살고 있다. 저자 또한 1970년대 초 시작된 여성운동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무례하고 고단한 세상의 한복판에서 성장하였다. 그리고 여지없이 젊은 날에 데이트 폭력, 임신 중절, 성희롱, 마약, 알코올중독 등 차마 말로 꺼내기조차 힘든 강렬한 사건을 겪었다.

이 책은 '너와 나, 우리의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첫 장을 열면서 저자의 이야기를 꺼내며 담담한 어조로 21장을 채워나가고 있다. 현대사에서 격동과 흥분이 최고조에 달했던 1968년 대학에 진학한 저자의 젊은 날 이야기는 2000년대까지 이어지며 우리에게 계속 말을 걸어온다.

그녀의 첫 장에 나온 문장이 그래서 선명하게 각인된다.

우리는 이제 수학자도 차량 정비공도 될 수 있었고,

치어리더가 아닌 축구 선수도 될 수 있었다.

현대인들에게는 아직도 약간의 선입견을 주는 말이지만 그녀가 살았던 시대에 이 말은 스티븐 잡스의 스마트폰 혁명과 같은 것임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녀는 말한다. "왜 당연한 소릴 하냐고 묻는다면, 예전에 우리가 학교를 점거했고, 여학생들은 수학 머리가 없으며 화날 때 귀엽다고 말하던 남자 교수들에게 항의한 덕분이라고 말하고 싶다. 꼭 해야만 하는 싸움도 있었고 위험한 싸움도 있었지만, 대부분 꼭 필요하면서도 위험한 싸움이었다. 나는 막막하고 외로울 때나 이제 다 옛날 일이락 느껴질 때면, 과거 우리의 행동과 말이 실제로 세상을 바꿔 놓았다는 사실을 상기해야만 했다. (...) 여성 투쟁은 어렵게 얻어낸 것이었다. 특히 마음을 가장 많이 괴롭히는 요소가 내면에 있을 때는 더더욱 그랬다. 여성들은 화를 내면화하여 우울증에 걸린다거나 얌전하고 친절하게 구느라 권력을 쟁취할 수 없다는 생각처럼, 너무도 쉽게 이론같이 받아들여진 관념들을 바꾸기하 잔인하리만치 힘들었다."

그렇다. 여성이 살아가는 세상은 남자들보다 헤쳐나가야 할 것이 더 많았다.

이 책은 퓰리처상 수상 작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게일 캘드웰이라는 여성이 주체적 여성으로 성장한 이야기를 회고 에세이로 전해주는 책이다. 그녀의 글을 두고 퓰리처상 선정위원회는 '현대인의 삶과 문학에 대한 탁월한 통찰과 관찰'이라 했고 작가 존 디디온은 '독자들에게 선물 같은 책'이라 평했을 만큼 저자는 삶에 대한 통찰을 내보이는 데 독보적인 작가이다.

저자는 오늘날 미투의 전선에 뛰어든 '최영미 시인, 서지현 검사'와 같다. 아직도 이 싸움은 현재 진행형으로 우리 시대에 존재하고 있다. 어쩌면 이 싸움은 지구의 종말이 올 때까지 계속 싸워나가야 하는 불편한 시선들이며 '인간의 자유를 향한 치열한 몸부림'으로 끊임없이 우리 시대의 여성들에게 또는 약자적 존재들에 의해 말해질 것이다.

특히 저자는 젊은 날을 반추하면서, 버지니아 울프를 비롯한 문학인에서부터 가족, 선생님, 멘토, 친구, 용맹스러운 여인 마조리, 이웃집 소녀 타일러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삶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특별한 여성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그들이 살아온 삶을 우리들에게 꺼내준다. 이 꺼낸 이야기는 문학적으로 아름답게 엮어지면서 20세기를 헤쳐 온 여성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21세기 당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정전(正傳 즉 전기傳記)으로 남아있게 될 것이다.

마조리에 대한 두 대목을 적어본다. 여성이라고 전제할 때 꾸밈, 단정, 단아함, 남편이라는 단어는 여성의 수식어이자 안전한 울타리 개념이다. 그러나 마조리를 통해 그 틀은 쓸모없음이 된다.

"우리는 수년 동안 몇 시간에 걸쳐 더 깊은 이야기들도 나누었다. 어떻게 죽는지와 어떻게 혼자가 되는지, 그리고 우리 두 사람 모두가 혼자 살면서 겪는 굉장한 어려움과 혜택들."

(...) 마조리의 집 앞에 도착해 따뜻한 차 안에 앉아 있을 때, 마조리는 나를 향해 몸을 돌리더니 난데없이 말했다. "남편이 생겼다고 해도 자기 삶이 크게 변하진 않았을거야. 하지만 집이 생기면 삶이 확실히 변해 ." p216

"그녀의 모습은 어이가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그 모습을 본 내 마음은 모든 거추장스러움과 쓸모없는 허영을 벗어던지고 바람에 날리는 꽃씨의 자유로움으로 가득 차 올랐다. p224

저자는 여러 여성들의 삶을 가져와서 자신을 투영하며, 말하고 싶은 것을 표현하고, 또한 혐오와 차별과 폭력으로 점철된 사회를 향해 여성으로서의 가치와 존엄성을 보게 해주는 귀한 책이다.

페미니즘의 세상이 되어질까봐 걱정하는 사람들에게는 금서처럼 느껴질 것이며, 페미니즘을 갈구하는 여성들에게는 삶의 사이다가 되어 많은 여성들이 이곳에 와서 평온하게 둥지를 틀것으로 본다. 그녀의 삶이 제목처럼 반짝거리는 삶이 아니었지만, 또한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이 우리 시대 내 어머니처럼, 할머니처럼 숱한 멸시와 억압을 받아온 인생이지만 그들이 싸워온 가치는 정말 "반짝거리고 소중한 것들"이 되어 우리의 삶을 매우 아름다워지게 할 것으로 본다.

자기 만의 독립적인 삶, 누구의 아내나 어머니가 아닌 '나'의 인생을 살고픈 여성에게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그런데 우리는 이 부분에서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여성이 가진 특유의 여성성이 과연 없애버려야 할 가치인가? 여성이란 존재가 억압의 대상이 되어왔던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남자의 일이 있고 여자의 일이 있다는 생각도 전근대적인 개념이기도 하지만 굳이 화장실 소변조차도 여성처럼 앉아서 누라는 강요는 비뇨기과적으로도 옳지 않는역차별적인 남성에 대한 억압이리라. 여성 또한 남자라는 틀을 강요하며, 그 안에 머물러 있기를 바라고 있지는 않은지 적고 싶어 적어본다.

마지막으로 버지니아 울프의 책 제목을 빌려오면서 쓴 "자기만의 방은 중요하다"에서 나오는 대목이 또 눈길을 끌어와 옮겨 적어 본다. "아무도 내게 저녁을 준비하고, 자신을 희생하고, 예의를 갖추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오직 나뿐이다. (...) 배고프면 먹고, 걷고 싶으면 걷는다. 때로는 몇몇 훌륭한 순간을 위해 검소하고 엄격한 흥정을 하고 어쩔 땐 잔인한 고요함을 누린다." p2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