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피곤한 과학 지식 2 - 그래도 아는게 백배 낫다! 알아두면 피곤한 과학 지식 2
마리옹 몽테뉴 지음, 이원희 옮김 / 작가정신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굳이 생각해 본 적 없지만 막상 들으면 궁금한 과학 지식

평생에 한 번 써먹을까 말까한 과학 지식

이 책은 저자가 눈에 띄었다. 우리 한국인이 생각하기에 썩 잘 그린 그림은 아니지만 재미있게 표현된 그림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클래식 만화를 많이 읽었으며, 애니메이션 학교를 졸업한 후 만화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션 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는 자이다.

특히 지질학부터 생물학, 물리학, 천문학 등 폭넓은 과학 분야를 일반 대중에게 쉽게 설명하는데 탁월하다. 이것으로 상도 받았다.

제목을 보면 '알아두면 피곤한 과학 지식'이라고 해서 얼마나 피곤할까 생각하며 보았다.

기대감도 있었다. 말은 피곤하다고 하지만 책을 펼치면 필요한 과학 지식이 풍부하게 기록되어 있어 독자가 기대하지 않는 가운데 얻는 행복을 줄 거라는 예상 말이다.

그렇다. 이 책은 굳이 알 필요는 없는 지식도 포함된다. 또한 평생에 한 번 써먹을까 말까한 지식도 포함된다. 그러나 기상천외하고 상상도 못 했던 과학 이야기가 이 책 안에 펼쳐져 있다. 정말 뜬금없는 이야기가 이 책 안에 있다. 쳅터 3번의 우주 비행사의 심리적 고통에 대한 얘기, 쳅터 5번에서 내 머리를 다른 사람의 몸에 이식한다면의 얘기는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웃음이 나왔다.

물론 이 책은 프랑스식의 그림이며, 유머라는 것을 염두해 두고 봐야 한다.

쳅터 5번은 눈버리는 그림이 나온다. 아마도 19세용으로 이부분은 처리해야 되는지도 생각해 봤다.

머리를 이식하게 될 때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 지, 다양하게 상상할 수 있도록 '무섭고 혐오스러운?' 그림과 함께 재미있게 구성해 나간다.

쳅터 5

쳅터 17 방귀에 관한 과학 지식에서는 진짜 그림을 보면서 글을 보며 웃었다. 이 부분이 제일 재미있다.

방귀를 가지고 하는 얘기는 어릴 때부터 우리들에게는 웃음을 주고 있다. 그런데 웃음만 주는 것이 아니라 재미있는 과학지식을 알려주어 매우 유익하며 이것은 어디 가서도 써 먹을 수 있는 지식이다.

NASA에서는 오랫동안 우주비행사의 블랙호을 연구해 왔다고 한다.

선외 우주복은 3분마다 산소가 순환되는데, 이 말은 우주비행사가 자기 방귀 냄새를 3분마다 맡아야 한다는 뜻이다. 우주복에 활성탄 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이다.

방귀를 연구한 독특한 과학자 한 명을 소개한다. 물리학자 '마이클 레빗'이다.

그는 방귀를 제공하는 사람과 그 방귀를 맡을 사람을 찾았다. 지원자들이 몰려왔는데 레빗은 지원자들에게 '냄새 없음'에서 '매우 지독함'까지 방귀 냄새가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도록 했고 그것을 기록했다.

그림을 보면 기가막힌다. 실제 엉덩이를 까고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림은 엉덩이가 까져있고 냄새를 맡는 지원자는 의자에 묶여 그것을 맡고 있다. 상상만 해도 웃긴데 그림으로 보니 빵 터졌다.

아래 그림을 넣어본다.

쳅터 17

방귀 성분 가운데 99%는 질소, 이산화탄소, 수소, 산소, 메탄이다. 이 가스체는 무색무취라서 들이마셔도 알 수 없다. 반면 1%의 위력은 폭발적인데 여기에는 황을 함유한 세 가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마이클 레빗이 가장 관심을 가진 부분이 바로 황을 함유한 세 가지 성분이다.

1. 황화수소: 썩은 달걀 냄새 2. 메테인싸이올: 부패한 채소 냄새 3. 다이메틸 설파이드: 삶은 양배추 같은 들쩍지근한 냄새

쳅터 17

그런데 재미나고 특별한 지식은 일반적으로 '복부 팽만인 여성'의 방귀에 황화수소의 농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악취가 가장 심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것이다. 그림을 보면 또 재미있다. 패션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여성 전문가)가 말하는 내용인데...

"뭐! 별로 놀랍지 않네요. 저는 늘 말했죠! 여성의 방귀도 냄새가 난다고!"

놀랍지 않은가? 여성이 방귀를 뀐다는 사실은 성인이 되어서 알았다. 우리 어머니는 절대로 자녀에게 그런 실수를 한적이 없어서 여성은 곱디고운 자태의 모습을 하고 있을 거라 생각했다. 대단한 착각이었다.

그런데 책 뒷장을 넘기면 이런 내용이 나온다. "대체로 남성은 방귀를 뀔 때 가스 분출량이 여성보다 많다. 그래서 남성이 방귀 냄새가 더 많이 난다."는 내용이다. 같은 양으로 따지면 '복부 팽만인 여성'이 더 지독하지만 분출량으로 보면 남성이 더 많이 난다는 것이다.

기타 방귀에 관한 지식은 책을 보면서 그림을 보면 아주 재미나다. 한 가지만 말하고 방귀 지식을 끝낸다.

방귀는 반드시 배출된다...아래쪽이 안 되면, 위쪽으로라도.

p194


책은 엽기적이며 괴팍한 실험도 나온다.

헤니히 브란트라는 사람은 1670년대에 아주 기발한 생각을 했는데 "오줌을 증류해서 금을 만든다"는 것이다.

브란트는 소변 50통을 모아서 증발하게 내버려두기도 하고, 온갖 난해한 실험도 했다. 그런데 소변을 끓였을 때, 남은 잔여물이 빛을 내기 시작하더니 저절로 불이 붙은 것이다. 브란트는 여기서 '인'을 발견한 것이다.

'인'은 금보다 더 비싸게 팔렸다고 하니 엉뚱한 실험도 그리 나쁜 것만은 아닌 것으로 생각해 본다.

왜냐하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발명품이 전혀 생각지도 못한 것에서 비롯 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을 120그램 얻으려면 소변 5,500리터가 필요하다는 것인데 1750년 스웨덴 출신의 '칼 셸레'가 양동이에 소변을 잔뜩 받아 놓지 않고도 인을 만드는 방법을 발견했다. #$%^*&

그런데 셸레는 자신이 발견한 모든 물질을 맛보는 괴벽이 있었다고 한다. 그는 가장 먼저 염소를 발견하는 인물이었는데 그런데 바보같이 실험실에서 죽었다. 그로부터 30년 후, 화확자 '험프리 데이비'가 다시 발견해 염소라고 명명했다. 그런데 기가 막힌건 '험프리 데이비'도 염소 가스 중독으로 사망했다고 추정한다.

알아두면 피곤한 과학 지식의 책은 피곤하기 보다는 재미가 넘치고 기발한 유머로 독자들을 빨아들인다.

"스스로 실험죄가 된 엽기적인 과학자들의 얘기", "발명품을 실험하려고 얼굴에 총구를 들이댄 과학자의 얘기", "공룡은 어떻게 짝짓기를 했을까"하는 굳이 생각해봐도 큰 의미가 없는 얘기를 가져와서 독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해 준다.

여기서 새로운 지식을 얻었는데 공룡에게는 "덜렁덜렁 달린 것이 없다" 고 한다. 즉 수컷에게 생식기가 없다는 것인데 고생물학자 '케네스 카펜터'는 가설을 통해 공룡이 새의 조상이라는 점을 든다.

수컷 비둘기를 예를 들면 성기가 아니라 콩알만 한 구멍이 있다. 이 구멍을 '총배설강'이라고 하는데 대변과 소변 배출, 생식(새끼나 알의 출산) 모두 구멍 하나로 처리한다는 것이다.

쳅터 23

새들은 '총배설강 교미', 다시 말해 총배설강을 비며 대며 짝짓기를 한다. 공룡도 마찬가지라고 가정에 본다는 것이다. 그러나 참새라면 가능했지만 꼬리가 뻣뻣한 비조류 공룡인 '티라오사우르스 렉스'는 상황이 전혀 달라 짝짓기가 어려웠을 것이라고 봐야 한다. 다른 과학자도 짝짓기 가설을 내세웠지만 그건 가설이지 실제가 아닌 것이다.(그림 자료는 궁금한 분을 위해 올리고 싶지만 책으로만 봐야할 그림이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놀랍고 때론 거부감이 들 수 있다. 알아야 할 사실은 저자가 프랑스인이다는 것!!)

그렇다. 흥미롭고 재미있고, 기발한 생각과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된다.

알아두면 피곤할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모르는 것보다는 백배 낫다는 것을 보여 준다.

★ 과학이 만만해지는 뜬금없고 웃긴 과학 이야기 ★

★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 대중문화상 수상작 ★

★ 100퍼센트 유익하지는 않을지 몰라도 유식해질 수는 있는 과학 이야기

★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 대중문화상 수상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