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쓸모 - 슬기로운 언어생활자를 위한 한자 교양 사전
박수밀 지음 / 여름의서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생활을 하면서 나는 어른스러워질 것이라 생각했다. 그중에는 사용하는 언어도 있었다. 전화 통화나 대화할 때 유창하게 어려운 말을 쓰면서 대화를 잘 해낼 수 있다고 생각했으니까.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였다. 점점 업무할 때 쓰는 단어 외에는 다른 단어들은 전부 까먹고 있었다. 영상이나 쇼츠로 보이는 짤막한 밈에는 빠삭해지지만 정작 사람을 만나 대화할때 쓰는 언어는 빈약해졌다. 언어의 퇴화였다.


올해 그렇게 시작한 것이 중국어와 한자 공부다. 중국어는 제2외국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한자는 왜? 라고 의아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한자는 정말 많이 쓰인다. 중국어를 배우면서 한자를 시작한 것도 있긴 하지만 한국어에서도 한자는 많이 쓰인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상사에게 편지를 보내게 되면 그 빈도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게 된다.


그래서 읽기 시작한 <한자의 쓸모>. 예전에는 무작정 급수 시험을 위해 외웠던 한자이지만 이제는 실용적으로 접근해 보고 싶었다. 이 책에서는 단어와 그 쓰임, 의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이야기해 준다. 예를 들어 흔히 쓰는 단어 중 분류와 분석에 대해서 말하자면, 분은 둘 다 나눌 분자를 쓰지만 분석은 쪼갤 석자를 쓰기 대문에 사물의 각 성분을 쪼개어 차이점에 따라 부분으로 나누게 된다. 분류는 종류 류자를 쓰기 때문에 여러 사물을 일정한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분석과 분류, 쪼갤 석과 종류 류자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 둘씩 단어와 한자를 함께 이해하다 보면 수많은 단어와 그 의미를 이해하고 한자를 읽을 수 있는 눈을 기르게 된다.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은 한자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이다. 단어에 대한 설명도 많지만 인생에 힘이 되는 말들이 많다. 이 책의 초반에 직업에 나오는 ''는 스승 사, 선비 사, 일 사 3가지 한자가 쓰인다. 이 책의 저자는 직업에 대해 이야기하며 당나라 승려 임제의 말을 함께 덧붙인다. "가는 곳마다 주인이 되라. 서 있는 곳이 모두 참되다.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이라는 말의 뜻이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고 내가 무엇을 하든 주인 의식을 가지고 열심히 사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깨달음이다.


이 책은 한자에 대한 재미를 붙이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사회에서 쓰는 언어를 조금 더 재밌게 받아들이고 싶어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무작정 외우는 것보다 이해하며 받아들이는 것이 왜 중요한지 알게 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