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관 - 상 - 왕을 기록하는 여인
박준수 지음, 홍성덕 사진 / 청년정신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누가 기록하냐에 따라 개인의 가치관이나 생각이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하게 객관적일 수는 없다. 많은 기록들이 주로 승리자들의 관점에서 쓰였고 그만큼 패자의 관점에서 역사를 논하기는 힘들때도 많았다. 조선시대에는 사관이라는 벼슬이 있어 역사 편찬의 초고를 맡았다. 사관은 사사로이 왕의 일화들을 적기도 하였는데 정사나 왕이 사냥을 나간 일, 더 나아가서는 헛발질을 한 것들까지 세세하게 기록하는 직업정신이 투철한 사관도 있었다. 




이 책 <사관 왕을 기록하는 여인>은 남장을 하고 사관이 되고자 한 여인의 이야기이다. 여자라는 사실이 아무도 모르는 비밀은 아니지만, 여사관이 되고자 남장을 하고 사관 수업을 받는 것은 매우 소수만 알고 있는 사실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상권에서는 세조가 왕이었던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하권에서는 예종이 즉위한 이후의 이야기를 다룬다. 


<사관>은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되는 계유년에 일어난 계유정난을 주 소재로 쓴다. 하지만 계유정난이 일어난 당시의 상황이 아닌 그 이후 계유정난에 관한 정난일기와 실록에 계유정난이 어떻게 쓰여질지에 대한 '역사'를 주제로 한다는 것이 흥미롭다. 세조는 왕이 되는 꿈을 이뤘지만 후대에 자신이 어떻게 기록될지 두려워한다. 사관을 경계하고 함께 난을 일으켰던 공신들을 경계한다. 이러한 갈등 구조가 이 소설의 포인트이다.  



소설 챕터가 바뀔 때마다 궁궐의 흑백사진이 들어있어 잠시 숨을 고르고 넘어가기에 좋았다. 


젊은 독자층이나 역사소설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 남장여자나 로맨스를 포함해 스토리를 조금 가볍게 만들고 흥미를 이끌려고 한 것이 보인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조금 더 긴장감이나 무게감을 주기 위해서 빼도 괜찮았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생을 포함한 미묘한 삼각구조는 한때 유행했던 '성균관스캔들'을 떠올리게 만들기도 했다.  


세조의 이야기를 사관이라는 독특한 시각에서 보기에 좋은 소설이었다. 또한 역사의 숨은 이야기들을 찾아보기에 좋은 소설이었다. 소설 초반에서 곡필과 직필, 사관이라는 직책이 갖는 의미와 역사가 갖는 의미에 대해 논하는 장면들이 있는데 소설을 끝까지 읽으면서 생각해보기 좋은 주제였다. 초반에 다양한 주제들을 꺼내놓았기 때문에 계속 상기시킬 수 있어 좋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