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바퀴 아래서 비주얼 클래식 Visual Classic
헤르만 헤세 지음, 박희정 그림, 서유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이경규가 '한끼줍쇼'라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청춘들에게 절대 '뭐가 되고 싶니?'라는 질문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았다. 홍대에서 그 질문을 했다가 혼났다는 이야기였다. 기성세대가 놓친 위태로운 사회속에서 느끼는 청년들의 불안감과 고통을 이야기하는 이 스토리는 나에게는 조금 다르게 다가왔다. 현재 나는 수업을 듣고 공부만 하던 시절이 끝나고 '무엇을 하고 살아야 하는가?'라는 막연한 질문이 코 앞으로 들이밀어졌다.나에게 '꿈이 뭐니?' 라는 질문은 무작정 남이 하라는 대로 하던, 나를 가꾸지 않은 이제까지의 나를 질타하는 질문이었다. 


(이 문단은 스포일러가 포함된 줄거리가 있습니다.)

<수레바퀴 아래서>는 데미안의 자전적인 소설로 이미 유명하다. 목사인 아버지와 신학계 집안 어머니 아래서 데미안은 라틴어 학교를 졸업하고 신학교에 들어가지만 적응하지 못하는 삶은 주인공인 한스와 매우 닮아있다. 마을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신학교에 들어간 한스는 학교에서도 우수한 성적과 모범적인 태도를 보인다. 한스는 하일너와의 관계를 시작으로 점차 학교에서 겉돌게 된다. 결국 국 신학교를 나오게 되는 한스는 고향으로 돌아가 신학교에 가기 전 그가 두려워했던 기계공의 삶을 끝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한스의 삶은 현재 내가 지금 겪고 있는, 또는 많은 10대 20대가 겪는 고민을 보여준다. 부모님, 선생님이 원하는 공부하는 삶을 살고 성적표 종이 한 장에 울고 웃는, 두려움에 떠는 삶은 예전에도 비슷했다는 생각이 든다. 더욱이 공부를 하면서도 '왜 공부를 하는가' 라는 질문에 근본적으로 자기 자신을 위한 답변이 나오지 않는 것도 그러하다. 한스의 삶은 정말 전형적으로 남에게 의지하는 삶이었다. 물론 겉으로는 혼자서 공부를 잘 하는 모범적인 학생으로 보였을 지 몰라도 그의 내면에는 자아가 부족했다. 현재의 청소년, 그리고 20대 청춘들 또한 그렇다. 어른들의 말씀대로 공부를 열심히 할 때와는 달리 혼자서 고민하고 행동해야할 순간이 되자 알몸으로 내동댕이 쳐진 기분이다. 

<수레바퀴 아래서>는 한스의 삶에 공감하며 읽을 수 있는 작품이었다. 또 내 자신을 찾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낄 수 있는 경고장 같은 소설이었다. 한스는 자신에 대해 찾아가려고 했지만, 결국 수레바퀴 아래에 깔려버린 채 삶을 마감했다. 우리가 내면을 탐구할 때는 끝없이 고민하고 시간을 쏟고 신중을 기해야 함을 명심해야한다는 것을 깨닫게 만든다. 


나 자신에게 집중해야 하는 삶을 어떻게 살지 모르겠다면 김영하 작가가 청춘페스티발에서 했던 '남에게 휘둘리지 않는 법' 강연을 추천한다. 깊게 와닿았던 강연 중 하나이고 내가 목표로 삼고 있는 이야기이다. 일기 같은 것을 쓸때 '오감'에 집중해서 글을 쓰는 것이다. 오감에 집중하다보면 내가 느낀 것, 맡았던 향, 손에 닿았던 감촉을 느끼며 나에게 집중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