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을 읽는 시간 - 죽음 안의 삶을 향한 과학적 시선
빈센트 디 마이오 외 지음, 윤정숙 옮김 / 소소의책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의학에 대한 이야기는 항상 흥미롭다. 법의학은 배운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보이지 않는 것을 밝혀내고, 보이게 만드는 학문이기 때문일 것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지만 시체는 그 사람의 삶에 대해 말해준다. 이 책 <진실을 읽는 시간>에서 말하는 '죽음 안의 삶'이다. 


실제로 법의학자인 빈센트 디 마이오와 범죄소설 작가 론 프랜셀이 썼기 때문인지 이 책은 소설을 읽는 느낌을 주다가도 뉴스를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만큼 생생하고, 상세하고, 깊이 있는 지식과 사건의 진실을 담는다. 책에 나온 작가의 삶이, 작가가 밝혀낸 사실들이 멋있어서 법의학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 라는 생각도 들게 만든다. 자신이 밝혀낸 사실들을 당당하게 말하는 그의 전문적인 능력이 부러워지게 한다. 디 마이오의 열정이 이 책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책에서는  여러 사건들을 다루고, 사건들 하나하나가 충격이지만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연달아 죽었던 아기들 사건, 마사 우즈와 폴의 사건일 것이다. 영아급사증후군으로 어쩌면 묻혀졌을 지도 모르는 아기들의 죽음을 밝혀냈고 앞으로의 생명들을 구해낸 디 마이오의 일에 감사를 표하고 싶다. 선한 사람으로만 생각했던 여자의 악행을 들춰내는 것은 디 마이오의 법의학적 지식과 판단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진실을 읽는 시간>을 읽으며 법의학은 현대 과학이 발전하며 이루어낸 꽃과 같다고 생각했다. 법의학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의문사로 남거나 진실이 가려진채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 왜곡되고 숨겨졌을 사실들이 말 없는 시체로 드러난다. 여럿 묻혀졌을 진실들이 밝혀질 때마다 깊고 어두운 미로에서 보석과 금화가 잔뜩 있는 보물을 발견한 기분일 것이다. 한편으로는 미쳐 다 밝혀지지 못한 진실들에 대해 안타깝고 아쉬워하는 마음이 느껴지기도 한다. 


총상전문가이기 때문에 총상에 대한 부검 결과들이 이 책에서 여러번 다루어지는데 그 점도 매우 흥미로웠다. 이제까지 알던 부검들은 대부분 독극물을 머리카락이나 손톱, 아니면 피부에서 들어나는 변색을 통해 밝혀내거나 칼이 찔린 방향, 타박상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 위치와 패임 등을 파악해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총에 의한 그을음, 화약이 묻은 정도나 파편에 의해 총이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어떻게 쏘여졌는지 밝혀내는 것은 신기했다. 어쩌면 총기사용이 불법인 우리나라와는 다른 미국이기 때문에 볼 수 있는 문제라고도 생각했다. 


법의학이나 범죄와 관련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상세한 서술이나 사건의 흥미도를 보았을 때 전공서적 같은 경우보다 더 잘 읽히고 재밌는데다 뉴스나 떠도는 소문들 보다는 정확하고 깊이있는 지식을 다루기 때문이다. 흥미와 지식을 둘 다 잡은 책이기 때문에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