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이 쉬워지는 미술책 - 박물관과 미술관 가기 전에 읽는 사고뭉치 9
윤철규 지음 / 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아이나 초등학생에게 설명을 해 주듯이 우리 옛그림 감상법을 가르쳐 주는 책이다. 어린 아이라고 해서 아주 수준이 낮은 책은 아닐까 걱장하지 않아도 된다. 이 책은 독자선정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책이다. 저자가 낮춤말로 그림을 설명하는 방식이 오히려 더 정답고 신뢰가 간다. 지식을 자랑하고 독불장군처럼 날 따라와서 이해하라는 식의 책보다 훨씬 더 맘 편하게 그리고 지금껏 가지지 못한 우리 옛그림의 단정한 모습을 맘 깊이 느끼면서 책을 읽었다.

 

제목의 전제로 단 '박물관과 미술관 가기 전에 읽는'이란 글이 너무 와닿는다. 여기서 말한 그림과 그림 속 여러 소재들을 잘 기억했다가 박물관과 미술관에 가서 참고-비교-감상-재감상 을 꼭 하고 싶다. 외국그림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고 또 시간이 나면 직접 보러 가고 싶다는 생각도 하지만 우리 가까이에 있는 너무나도 훌륭한 작품은 왜 제대로 감상하지 못했는지를 반성하게 만든 책이다. 물론 한국화에 영향을 준 중국화가 등장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한국화가 다수를 차지한다. 왜 지척에 좋은 그림을 두고 감상하려 가지 않았던가? 그 이유는 이런 그림이 있다는 사실과 그림을 어떻게 감상하면 되는가, 그림의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 무지 때문이지 싶다.

 

이번 저서가 아니면 귀한 것을 놓칠 뿐 했다. 책을 읽으면서 특히 맘에 와 닿은 점은 장르에 따른 독법을 설명한 점이다. 산수화, 인물화, 화조화, 민화 등등의 유명작품의 소개와 함께 읽는 독법 설명은 한 번 책을 읽는 정도로 그칠 게 아니라 한 편 한 편 실제 그림을 감상하면서 또 보고 봐야 할 귀중한 참고서이다. 지은이는 여러 종류의 그림을 간단명료하게 독법을 설명하고 있다. 산수화를 잠깐 들여다보자. 중국 곽희의 조춘도에 비해 허륜의 죽수계정도를 비교하면서 왜 죽수계정도조춘도에 비해 간경하고 쓸쓸한 느낌이 드는 풍경으로 그려졌을까를 지은이는 자문자답한다. 저자는 두 그림의 시간차가 800년이나 나기에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들이 품는 고향의 모습이 바뀐 것이 그림이 달라진 원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여백을 중시한 마원의 그림과 그로부터 300년 뒤 일반 서민도 그림을 사서 즐기게 되면서 장로가 그린 어부도등의 그림이 사람들의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이런 배경 설명은 이 책의 장점이다. 여러 부분에서 이렇게 그림과 시대를 연결해 설명한 부분이 특히 좋았다. 산수화의 그림이 비슷한 이유는 조선 초기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이 자기만의 감상법을 충분히 갖추고 있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당시의 시대상과 연결해서 그림을 감상하도록 배려한 점이 무척 고마웠다.

옛사람이 그린 그림에 담긴 배경설명은 지은이의 설명에 의존하는 것을 1차로 하고 다음 2차로 독자인 자신이 곰곰이 생각하면서 여러 조건에 맞춰 생각해 보면 더 재밌고 E.H. 카가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말했듯이 과거를 보고 현재와 미래를 조망해 보는 멋진 체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생 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적극 권하고 싶은 책이고 재독 삼독을 하고 싶은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