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주식시장을 이기다 - 상위 1%만 알고 있는 투자 철학의 비밀
장박원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인문학에서 다루는 여러 이야기를 주식시장의 원리나 생리에 맞춰서 글을 적었다. 3파트로 나눠서 1파트 19, 2파트 12, 3파트 8편 도합 39편의 이야기를 다룬 책이다.

 

먼저 인문학과 주식시장을 결합시켜 글을 적고자 한 저자가 본서의 제목에 동의를 하였는지 의문스럽다. 인문학을 주식시장에 접목시킨 발상은 기발하고 높이 평가할 부분이나 이 둘이 서로 대적관계에 놓여 있다는 가정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다. 왜 대결양상으로 이 둘을 묶고 있을까. 인문학이 주식시장을 이긴다는 말은 문이 무보다 강하다(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라는 속담이 생각나고 작가 김훈이 말한 칼은 당연히 자신이 강하니 펜에게 내가 더 강하다라고 할 필요가 없고 펜은 약하니 말로라도 칼보다 더 강하다라고 말할 수 밖에 없는 열등한 자의 자기보호 본능에 기초한 말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굳이 이 둘을 적대시하지 말고 서로 상보관계로 설정하면 어떨까. 주식도 자본과 뗄 수 없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 있어 인문학만큼이나 중요한 문명기제가 아닌가. 긍정적으로 바라보면 이 책은 인문학, 주식시장을 만나다라는 정도로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2쪽에서 3쪽 안팎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인문학 영역의 소재를 주식시장의 원리와 결합시켜서 이야기하고 있다. 각 이야기의 끝에는 스토리 에센스라는 요약문을 달고 있다. ‘스토리 에센스...‘핵심 포인트’, ‘핵심 내용뭐 이런 종류를 스토리 에센스라고 적고 있다. 이것도 너무 영어를 남발하는 것 같아 보기가 안 좋다. 영어를 안 쓰면 촌스럽고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강박관념을 알게 모르게 출판계나 글쓴이들이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씁씁하기도 하다. 어찌 되었던 중요한 것은 책의 내용이고 책을 읽는 독자인 내가 느끼는 감상이니 넘어가자.

 

스티븐슨의 작품 모비딕(Moby Dick)’을 인용하면서 보이지 않는 거대한 고래를 찾아 사투를 벌이는 모습이 주식시장에서 개인이 주식과 한판 승부를 벌이는 것이나 비슷하다고 하는 부분이나 15-17세기 유럽의 신대륙을 찾으러 떠나는 배에 대해 투기를 하는 것에서 주식이 태동하였다고 이야기하면서 오늘날 기업이 공모주를 발행할 때도 그때와 같이 배가 들어오면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이야기는 참으로 저자의 내공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여러 상황을 종합해서 장세를 바라봐야 한다는 일반 투자자세부터 삼성주같이 모바일에 크게 의존하는 대장주는 위험할 수 있으니 장기보존은 하지 말라는 구체적인 내용까지 압축적인 설명을 단 한편 한편의 내용이 보면 볼수록 정감이 갔다. 다시 말해 한편 한편이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을 할 수 있었고 처음부터 읽는 부담없이 아무 곳이나 펼쳐서 하루동안 곰곰이 생각해보면 좋을 책이었다.

 

전체적으로 죽 읽으면서 빠르게 훑었지만 다 읽고난 후에 다시 곰곰이 새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잠언처럼 한편의 이야기를 하루의 테마로 삼아 꼭꼭 씹어서 소화하면 좋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