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크로드 다시보기 - 신라의 비단, 로마로 가다
나영주 외 지음 / 지식과감성# / 2023년 12월
평점 :

<실크로드 다시보기>
어릴 때 동네 집집마다 대문에 달려있던 사자문고리..
성인이 되고 로마에 처음 갔을 때 유적지에서 그 익숙하던 사자문고리를 발견했다.
잠시 혼란스러웠다. 왜 우리 동네에서 흔히 보던 것이 고대로마 유적지에 있단 말인가. 사자문고리의 여정이 어찌되었는지 알길은 없지만,
실크로드 역사를 되짚어보며 학창시절에 배운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다.
실크로드는 그저 중국와 서역, 그들만의 리그라고 여겨왔다.
그랬던 고대 실크로드가 우리 한민족, 월지족의 역사라고 한다.
어찌된 영문인지 설렘과 함께 실크로드 역사를 낱낱이 파헤쳐본다.

이 책은 고고학에 정통한 여러 학자가 쓴 책이다.
실크로드에 담긴 역사를 각종 사료를 더해 재해석하고 바로잡는데 힘쓰고 있다.
나도 세계사 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총동원하여 읽어보면서
그동안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되고 전혀 다르게 알고 있던 사실도 있어 놀랍기도 했다.
실크로드는 사막길만 있는 줄 알았는데 시대별로 발달한 항로가 따로 있고,
암기했던 몇 개의 물품뿐 아니라 수많은 물품과 문화까지 교류한 길이다.

단군조선의 청동거울이 몽골, 아프가니스탄, 로마에서까지 출토되는 것이 우연일까.
청동거울도 전파되는 마당에 사자문고리 정도는 얼마든지 오고갈 수 있겠다.
가장 흥미로웠던 소재는 ‘최초의 종이 잠견지’라고 할 수 있다.
이집트의 파피루스, 중국의 채륜 정도만 알았지 고조선의 잠견지는 처음이었다.
잠견지는 누에 탈피 껍질로 만든 종이인데 다양한 기록에서 잠견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고대에 서역에는 어떤 나라가 있었는지 역시 흥미로웠다.
국사만 따로 놓고 공부했던 폐해가 여기서 나오는 것 같다.
세계사와 국사를 융합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을까.
실크로드에서 고조선부터 신라, 백제, 고구려, 고려에 이르기까지
말로만 찬란한 역사가 아니라 몸소 와닿는 찬란함을 느낄 수 있었다.
자손이 똑똑해야 조상의 업적을 기릴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역사학자가 아니더라도 우리 역사와 세계사를 꾸준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도 우리가 모르는 찬란한 역사를 밝히기 위해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실크로드다시보기 #나영주 #황순종 #이진우 #이기훈 #김영현 #정상규 #전정민 #이효정 #지식과감성 #세계사 #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