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우 : 시간의 물리학 - 지금이란 무엇이고 시간은 왜 흐르는가
리처드 뮬러 지음, 장종훈.강형구 옮김, 이해심 감수 / 바다출판사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금 Now'을 이해하는 데에는 상대성이론, 엔트로피, 양자물리학, 반물질, 과거를 향한 시간여행, 얽힘, 빅뱅, 암흑에너지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비로소 지금에 이르러서야 우리는 '지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모든 물리학 지식을 손에 넣었다. (머리말 중에)
책 제목 그대로 이 책은 "지금"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1부에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크로노스적으로 우리 손목에 반짝이는 스마트 워치를 절대적으로 받아들인 우리에게 아인슈타인이 던진 새로운 시간의 성질을 다룬다. 시간은 늘어나고 줄어들고 순서가 뒤죽박죽이다. 상대성이론은 2019년 고2 6월 모의고사에도 출제되었다 (하단에 붙여놓았으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연인과 함께 보내는 두 시간은 1분 정도로 느껴지겠지만 뜨거운 난로 위에 앉아 있는 1분은 두 시간처럼 느껴질 겁니다--<뉴욕타임즈>"
시간의 상대성은 최근 번역출간되기도 한, The Order of Time 에 소개되어 있는데 산꼭대기와 해변에 달라지는 시간이 쉽게 소개되어 있다. 지금 당장 짐 꾸려서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데로 이사가야지 않을까 童顔을 유지하고 싶은 분은 참고하시라.
2부에는 그 유명한 엔트로피와 시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엔트로피의 증가가 곧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다고 예전에 읽었던 듯 한데 본 책은 그와 견해를 달리한다. 나같은 일반인에 입장해서 과학자들의 주장과 그 주장이 오랜 동안 주지되어 왔다면 '맞나보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물리학자들이 엔트로피라고 부르는 양으로 측정되는 우주의 총체적 무질서는 우리가 과거에서 미래로 나아감에 따라 꾸준히 증가한다. 다른 한편, 조직화된 구조들의 복합성과 영속성으로 측정되는 우주의 총체적 질서 역시 우리가 과거에서 미래로 나아감에 따라 꾸준히 증가한다.--프리먼 다이슨"
과연 이 주장은 맞는지 필자의 반증을 음미해 보시길 바란다.
3부에는 드디어 양자역학이 등장한다. 그 유명한 "나는 신이 주사위를 던지지는 않는다고 확신한다"고 했던 아인슈타인의 편지가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의 장점은 약간의 과학상식을 가진 독자도 충실히 읽어내려 갈 수있는 글이고 좀 더 전문적 내용은 부록에 친절히? 안내하고 있다. 좋은 구성이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사이의 모순? 불일치를 어떻게 설명할지도 다뤄지며 우리가 정말 궁금해하는 시간여행도 소개된다. 파인만의 시간역행과 디렉방정식의 디렉도 다 나온다.
이제 책을 다시 읽어야겠다. 4부에는 실재라는 개념을 다루는데 이 4부를 읽기 전에 "Reality is Not What It seems"책을 지금 펼쳐 놓았다. 결국 서양문화의 뿌리는 "실재"라는 것을 어떻게 보냐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감각 감관이 부정확하다고 가정하고 그런 우리의 인식을 뛰어넘는 절대적인 불변적인 뭔가를 찾았던 것이 오늘날 과학으로까지 발전해 온 것인데 현대물리학은 여전히 그 "실재" "Being"는 모호하기만 하다. 철학과 과학이 이 지점에서 다시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 나는 서양철학의 시작점이 희랍철학의 그 시작에서 다시 공부를 해 나가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