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제는 연구와 교육상의 가장 
기본적인 조직 단위였다. 강좌는 
학과와 학부에 우선했다. 강좌가 
기초 단위로 존재하고 
그것의 집합체로서 학과와 학부가
 조직되었다. 문부성이 
강좌제를 도입한 중요한 이유는 
학문의 전문화에 있었다. 이 강좌제는
 교육보다는 연구를 우선하는 제도였다. 
배우는 학생이 없어도 필요한 세부 전공이라면
 강좌가 존재했다. 강좌제는 
교수들이 자기 학문분야의 이름을 내건 
독립 영역을 보장받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강좌제는 교수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경제적 안정을 제공했다. 
강좌제 도입 이전에는 
제국대학 교수로 임용하기 위해
유학을 보냈던 인재들이 돌아와서 
다른 직장을 선택하는 일이 드물지 않았다. 
사람은 사명감만으로 살 수 없다. 
당시 정부 직할의 여러 관청은 
더 많은 봉급으로 유학한 인재들을 끌어들였다.
 이에 문부성은 각 강좌에 
교수 봉급에 준하는 ‘직무 봉급강좌 봉급)‘
을 부과했다. 당시 
1,000엔의 연봉을 받는 교수에게 
강좌 봉급으로 1,000엔을 더 얹어주어 
교수의 유출을 막은 것이다.
문부성은 제국대학에 예산을 배분하면서도 
강좌제를 활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제국대학 유학생들은 총독부 식민 통치를 
유지하는 관료의수급처였으며, 관공사립() 
교육기관과 식민지 언론·출판및 경제계의 
핵심 인사들이었다. 또 해방 이후에는 
남북한 국가건설의 중요한 인적 자원이었다. 
그들 중 많은 이들은 남북한 근대 학술의 
기원이 되었다. 달리 말하면, 
제국대학은 일본만이 아니라 
식민지 및 남북한에서도 
국가 엘리트 육성 장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장
식민지인, 과학기술을 통해 제국의 주체를 꿈꾸다

과학자)과 조국 식민지판
 ‘문송합니다‘차별을 극복하는 ‘과학‘ 
판타지 식민지 문학이 그린 과학기술(자) 
교토제국대학의 두 조선인 교수 이야기
과학자의 선택: 도덕과 합리 사이
리승기의 과학은 도덕적인가?

9장 제국의 지식으로 제국에 저항한 사람들
10장금녀의 영역, 제국대학으로 유학 간 여성들177
별이 된 청년, 송몽규  ‘곰‘이라 불린투사, 박영출유형식, 제국대학 출신소시민의 초상친일파 아버지와 좌익 아들 운동권 대학생에서 총독부 경찰로 마르크스주의자에서 도색영화 브로커로199제국대학에 등장한 여학생들신의경, 최초의 제국대학 여자 유학생  조현경, 규슈제국대학의 첫 여자 유학생 ‘내 이름은 김삼순‘, 최초의 여성 농학박사이화여자전문학교와 제국대학신진순, 북한의 문학예술을 움직인 제국대학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리말 004
프롤로그 현해탄을 건너는 청년들
1장 제국대학,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

2장 조선인 교토제국대학생, 제국의 사업가가 되다013
유럽(독일) 대학을 번안하다 
법학부 엘리트가 지배하는 나라 
‘신진카이혹은 저항과 전향의 정신 구조 
제국대학과 노벨상 그리고 강좌제023

3장 누가 제국대학으로 유학을 갔는가039
오사카 공단에 매혹된 식민지 소년 
민족 기업가인가, 
제국의 부역자인가
제국대학이라는 사회자본 
경방 장학생과 계급 재생산055
일본 내지 제국대학을 선호한 까닭  
제국대학 조선인 유학생의 규모 
제국대학의 관문, 구제고등학교 
제국대학 학생들은 금수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