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처방전 정신의학 -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현대인에게 드리는
고시노 요시후미 지음, 황소연 옮김, 표진인 감수 / 전나무숲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현대인에게 드리는 희망의 처방전 정신의학'이란 제목에 마음이 이끌려서 책을 보게 되었다.

집안에 정신적으로 고생하고 계신 분이 있어서 나름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런 책이 있다는 걸 알고 반가운 마음이 앞섰던것 같다.

희망의 처방전이라니 무언가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내용이 있을까 읽기전부터 기대를 많이 하고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정신질환하면 한번 걸리고 나면 고치기 힘들고 "차라리 어디 수술하는 병이 낫다." 라는

말을 곧잘 하곤 했었는데 그런 인식을 한번에 씻어줄 정도로 정신질환에 대한 종류와 치료법,

그리고 일반적으로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정신질환은 이런 거다. 라고 딱 꼬집어서

설명을 해주고 있어서 막연하게 알았던 지식을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느낌이 들었다.

 

평소 정신질환중에서 생각나는 거라곤 우울증과 대인공포증, 정신 분열증 이정도였는데 읽다보니

단순 우울증부터 공황장애, 대인공포증, 정신 분열증, 조울증, 범불안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사회 공포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등 종류부터 다양한 치료법, 그리고 시작하기에 앞서 뇌의 구조와 어디에 문제가 생기면 병이 생기는지 그림과 뇌철수, 뇌박사라는 캐릭터를 이용해 대화로 설명하는 것도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

우리가 아무리 생물시간이나 책을 통해서 뇌의 구조를 배운다고 한들 이런것을 늘 머리속에 넣고 다니는 사람은 몇 되지 않을거라 생각한다.

 

나또한 뇌의 구조가 대충 어떻게 생겼다는 것만 알지 어디어디가 무엇이고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잘 모르고 있다.

책속에서는 우리가 궁금해 할 법한 것들을 뇌철수가 등장해서 질문하고 뇌박사님이 설명해주는 방법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뇌의 구조를 설명해주니 모르는 분야지만 조금이나마 이해가 가기 시작했고 병의 종류를 설명하고 우울씨나 불안 양등을

등장시켜 우울증이나 공황장애등 각종 정신질환을 설명해주고 어떤 단계로 치료를 하는지 상세하게 설명해주고 있어서

우리가 막연히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기면 정신병원을 가야하는 걸로 생각하는 거와는 다른 의미로 받아들일수가 있었다.

몸에 이상이 생기면 병원을 가듯이 마음에 병이 생기면 당연히 상담을 받고 처방에 따라 약을 먹고 단계적으로 치료를 받으면

나을수 있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깨달을수 있었다.

한번 걸리면 계속적으로 지속되고 재발하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가벼운 것이라면 단기간의 치료로 나을수 있다는 것이

확실하게 알게된 정신질환의 치료법이다.

 

** 등장 캐릭터 **

뇌박사 : 정신과 전문의로 뇌 연구소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정신과 의사

뇌철수 : 앞으로 인간형 로봇에 내장될 개발중인 인공두뇌로 도넛비슷하게 생겼음

 

** 정신과에서 하는 치료의 대체적인 순서 **

1. 진단기준: 문진을 한후 DSM(정신장애의 진단및 통계 편람)이란 객관적인 진단 기준을 통해 기본적인 진단을 내린다.

2. SCL이라는 '증상 평가표'를 환자에게 주고 작성케 하는데 이는 상당히 자세한 것부터 비교적 간단한 질문을 하는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다고 한다. 상담시간은 대체적으로 한시간 정도를 한다.

3. 위의 두가지를 통해 질환이 무엇인지 판명한후 본격적인 치료에 들어간다.

4. 질환의 정도에 따라 약을 처방하고 생활 습관등 여러가지를 상담한후 짧게는 이개월부터 몇달에 걸쳐서 약과 상담을

   기본으로 치료한다.

 

뇌의 구조부터 시작해 신경전달물질을 설명하고 그후 우울증의 가벼운 질환부터 설명하고 있는데

우울증에 걸려 자살을 하는 사건들이 한동안 많이 일어나서 왜 자살을 할 생각이 있으면 살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라는 의문을

많이 가졌었다.

그런데 책의 설명을 보니 우울증에 걸리면 이것은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나을수 있는 병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본인의 노력이나 게으름등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치료가 꼭 필요한 질병이라는데 처음엔 불안하고 사소한 일에도 예민해지고

취미나 하는 일에 관심이 없어지는등 증상이 생기는데 이런 우울한 증상이 몇달 지속되면

본인은 계속 기분이 바닥으로 떨어지고

결국 불면증에 시달리면서 예전으로 돌아갈수 없는 두려움에 자살 충동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이를 '자살반추' 라고 하는데 이것은 자기부정과는 달리 극심한 절망감에서 벗어나는 길은 자기 존재의 소멸이

가장 좋은 선택이란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울증은 꼭 치료해야 하는 질병이고 치료하면 나을수 있다고 하니 잘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치료법에서는 벤조디아제핀등 여러 치료 약에 대한 설명까지 해주고 있어서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되었다.

 

책을 모두 읽고 나니 정신의학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막연하게 알았던 정신질환에 대해 가졌던 선입견을 떨쳐버릴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부제에 있는 것처럼 정신의학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바꿔주는 책이었고,

현대사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생활을 많이 하는 지라 꼭 읽어봤으면 좋을 책같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