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조선이다 - 조선의 태평성대를 이룩한 대왕 세종
이한 지음 / 청아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써놓은 책으론 세번째로 접한 책이다.

어릴적 위인전으로 세종대왕을 읽었고 작년 여름께 대왕세종이란 책을 접한 후

이번에 나는 조선이다. 로 세종대왕을 다시금 접하게 되었다.

흔히 세종대왕은 조선 최고의 태평성대를 이룩한 왕이고 한글을 창제하고 과학, 음악을

발전시키고 정리한 왕으로서 널리 칭송을 받는 왕이다.

이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고 이것만으로도 최고의 성군이란 칭호를 얻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이기도 한다.

작년부터 조선시대를 통틀어 정조와 세종, 이 두왕에 대한 이야기가 재조명되고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드라마로 각종 매체를 통해서 다양하게 알려지고 있다.

하고 많은 왕중에 왜 두 사람만 이렇게 후세에 이름을 날리는 것일까?

참 의문스럽고 하지만 나에게 기본 지식이 별로 없는 관계로 나또한 다른 사람들처럼 주어지는 지식에

책이나 매체에서 알려주는 지식에 목맬수밖에 없는 현실이 조금 한심스럽기도 하다.

그래서 이 기회에 세종대왕을 주인공으로 써놓은 책들을 조금씩 읽어보기로 마음을 먹었다.

 

이 책은 작년에 읽은 대왕세종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쓰여진 책으로 한 사람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이렇게 이야기가 흘러가는 방식이 다르기도 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대왕세종은 세종대왕이 마음 경영을 한 것을 주제로 신하들과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고 인재를 어떻게 등용해서

능력을 나타낼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반해 나는 조선이다. 에서는 저자가 세종대왕으로 인해

피해라고 할수도 있는 일들을 겪은 주변 인물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시대에 어떤 분야에서 발전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분야별로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던 사람들, 세종대왕의 알려지지 않은 개인적인 건강상태와 인간으로서의

고뇌등을 저자의 방식대로 펼쳐보이고 있다.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사실 세종대왕을 어릴적 위인전으로 읽고 막연한 상상이지만 갸름하고 준엄한 얼굴에 호리호리한

체격을 가졌을거라고 쌍꺼풀없는 적당히 큰눈에 약간은 까칠한 성격을 가졌을거라고 상상을 했었다.

그 상상은 작년까지도 이어져오고 있었는데 대왕세종을 읽으면서,이번 나는 조선이다. 를 읽으면서 다시한번 깨어져버리고 말았다.

늘 바쁜 정사에 책벌레였던 세종대왕이 자연스럽게 운동할 시간이 없었고 늘 머리속으로 복잡하게 이것저것 생각하는 통에

여러가지 병에 걸렸었고 비만이었다는 것은 의외의 사실이었다.

적자가 아님에도 왕이 되었고 어느 왕자도 세종대왕에게 태클을 걸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 세종대왕이 올바르고 누구도 범접하지

못할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양녕대군이나 효령대군 모두 각자의 길을 간것이 아닐까?

동생이 왕이 되었지만 흔한 역모사건하나 없었고 왕을 도와 나라를 평온하게 하는데 다들 제 역할을 잘 해주었던 것 같다.

 

이 시대는 어느 왕조때보다도 화려한 시대였다. 역사적으로 볼때 과학과 음악의 정리와 예법이 올바르게 세워지고 정리되어

조선의 정체성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고 각종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져 이룬 업적들이 많았다고 한다.

집현전을 만들어 각종 연구를 해서 나라일에 큰 도움을 주는 두뇌집단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하기도 했고

신분에 얽매이지 않는 인재 등용을 한것으로도 세종대왕은 성군으로서의 자질을 인정받는다.

하지만 이 모든 업적들이 세종대왕이 승하하고 몇세대를 건너지 않았음에도 이어지지 못하고 사라진 것이 많았다고 하니

아쉬울 따름이다.

세종대왕이 모든 것에 있어서 잘하고 대단한 능력을 발휘했다고는 할수 없지만 인간으로서의 고뇌가 없었을거라곤 생각하지

않는다. 외척이 분산되고 죽임을당하고 이런 순간에도 한마디 할수 없었으니 얼마나 답답하고 힘들었을까?

하지만 모든 것을 뛰어넘어 놀라운 업적을 이룬 삶을 살았다는 것은 후세에 있어 충분히 본받을만하고

현대의 조직에도 적용할수 있는  사람을 다스리는 법이나 인재 등용, 리더로서의 자세 등은 배워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세종대왕의 인간으로서의 삶과 능력, 업적, 모든 것을 골고루 담아놓은 책이라 읽어볼만한 책으로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