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 세종 - 마음을 지배하니 세상이 나를 따른다
백기복 지음 / 크레듀(credu)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마음을 올바르게 경영하는 것이 곧 나의 삶을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가 된다.

 

옛말에 말을 강가까지 끌고 갈순 있어도 억지로 물을 먹게 할수는 없다고 했습니다.

마음이 동하지 않으면 본인이 원치않는 것을 남이 하게 할수는 없다는 것이겠죠.

이 책에서는 주인공인 대왕 세종을 우리에게 알려진 성군으로서의 이미지외에

새로운 마음경영을 한 사람으로 재조명하고 있습니다.

경영이란 것은 작게는 나 자신부터 회사의 사장, 나라의 대통령까지 어느 하나 해당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대왕세종은 신하 한사람 한사람에게 다른 방식으로 그 사람의 성품과 능력에 따라

처세를 달리하셨다 합니다.

이 책에서는 세종대왕의 마음 경영을 총 10단계로 나누어 말하고 있는데

 안티사랑,  자기 절제,  마음의 균형,  자기 적합화

 자기 계발,  전문성 추구,  자기 변화,  자기 경계,  아낌과 위함,  공정성 확보를

최만리, 윤회, 김문, 강희안, 박팽년, 정인지, 하위지, 이개, 신숙주, 변계량 등의 신하를

예로 들어 마음경영이 어떻게 중요한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문에 이런 글귀가 있습니다.

" 세종은 원래 비만인데다가 임금으로서의 체통을 지키느라 늘 운동부족이었고 그것에 대해 가만히

앉아 책을 보는 습관을 고치지 않았으니 건강이 좋을리 없었다."

 

위인전이나 역사속에서 세종대왕은 성군이고 인자하고 훌륭한 왕이라 점잖은 얼굴에

호리호리할거라 생각했었는데 비만이라니 상상이 안갔습니다.

얼마나 힘들고 부지런한 생활을 하셨을까 생각하니 제가 너무 나태하게 사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세종대왕은 철저한 신분사회에서 신분에 관계없이 인재를 등용하여 쓴일로 유명한데

수많은 기득권층의 비판과 상소를 물리치고 그런 일을 추진하였으니 마음고생이 많았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임금도 사람일진대 화도 나고 짜증도 나고 때로는 모든걸 뒤로하고

편히 살고 싶을때도 있었을텐데  많은 신하 한사람 한사람을 파악해 적재적소에 소임을 맡겨

일을 하도록 하고 수많은 업적을 남기셨으니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자신의 마음을 다스려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은 얼마나 힘든지

작심삼일이란 말이 많이 쓰이는 것만 봐도 알수 있죠.

인재를 등용하고 한글을 만들고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넘어선 사랑과 배려를 보여준 세종대왕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올바른 마음 경영을 가르쳐 주면서 지도자란 이래야 한다는 걸

일깨워 주는 듯합니다.

늘 자신을 채찍질하며 계발하고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 겠다는 마음을

가지게 해주는 좋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