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인문학 - 자연에 에너지 본질 긋기
유호경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론은 생각이다. 말은 실제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론에 너무 얷매이지 말고 실제를 돌아

보아야 제대로 있고 제대로 보아야 정확히 있다. 실제를 본다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것을 보는 것을 포함해서 그것이 가진 내면까지 들여다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면과 실체를

모두 보는 그것이 실제이다. 동양의 자연(실제) 중시하는 것과 다르게 서양은 생각(이론)

중요성을 강조하고 동양이 생각의 세계(이론 언어의 세계) 허점을 강조한 것에 비해 서양은

정제된 생각(본질) 찾는 역사이다. 


에너지는 자연에서 눈으로 있는 대상이 아니다. 에너지는 만들어진 개념이고 우리가 직관하는

거리, , 시간 등의 1차적 감각을 가공해서 속도(거리/사건)처럼 만들어진 개념 위에 비로소

에너지라는 개념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개념이 비록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사물을 움직이는

힘인 에너지인 것이다. 에너지는 플라톤의 이데아 이론에 의하면 '가지계'(intelligible world) 속한다. 

에너지라는 개념은 힘이라는 개념 없이 형성되지 않고, 힘의 개념은 가속도의 개념없이 설명할 없고

속도라는 개념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거리와 시간을 머릿속으로 재구성해서 만든 개념이다. 이와같이

현대인의 일상적이고, 원래 있던것 처럼 느끼는 속도같은 초보적인 개념도 인간의 사고작용을 통해

가상세계에 만들어 놓은 가상공간의 종류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의 뇌는 오류 투성이의 근거를

가지고 세상을 읽고 있다는 것이다. 뇌는 자기 나름대로의 판단기준으로 세상을 그려낸다. 이는 우리가

아무리 처음 보는 고양이라도 그것을 고양이로 파악할 있는것은 우리 머릿속에 고양이의 이미지가

이미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알아보기 단계및 종류에서 에너지에 대한 슈퍼 데이터 없이 에너지에 대한 지식 만으로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있다고 여기는 것을 정성적(Quantitative)앎이라고 하고 개념에

수치까지 제시하는 것을 정량적(Qualitative) 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근대적 에너지는 뉴턴 이후

구성된 이론을 사용해서 해석한 수치를 우리 앞에 드러내는 것이다. 


기존의 화석 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신재생에너지만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건물을 제로에너지 건물이라고 한다. 건물은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건물 스스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갖춰서 외부로부터 에너지 공급을 받을 필요가 없는 건물인데 실제 에너지 자급율이 80%

이상이었다고 하니 미래형 주택의 좋은 모델이라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에너지를 직접 생산해서

자족하는 능동적 건물이 있는가 하면 에너지 노출을 최대한 방지하여 에너지가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는 패시브 건물도 있다. 단열 공사비 때문에 일반 주택보다 평당 건축비가 15% 정도 비싸지만, 겨울철

난방비는 95%이상, 여름철 냉방비는 50%이상 절약 있으니 역시 좋은 대안 이라 하겠다. 일례로

독일 프랑크프루트의 경우 패시브건물로 설계해야만 건축 허가를 내준다고 한다. 이를 통해 보면

패시브에너지건물은 제로에너지건물로 가는 필수 경로라 있다.

 

책은 저자의 현장 경험을 토대로 에너지의 발생과 전달과정과 효과적인 사용법과 향후 에너지

활용전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에너지라는 알고는 있지만 설명하기 어려운 분야에 대해 쉽게

설명하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