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세계사,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
이희철 지음 / 리수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간세계사,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

▪︎이희철 지음, 153×224×20㎜ 336쪽 628g, 리수 펴냄, 2024.02.29.
---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을 함께 다루는 최초의 책으로,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부터 르네상스시대 이전까지 이른바 암흑기라 일컫는 중세의 비잔티움과 근대의 서막을 연 오스만제국을 재조명한다.˝라고 소개하였으나,

당초 기대한 바와 달리 비잔티움과 오스만에 할애한 분량이 너무 적었다. 로마 분열 이전부터 근대까지를 다루는 상식과 통사로는 더없이 좋은 구성이다. 그러나 내가 원했던 것은 주변보다는 비잔티움과 오스만만의 역사이다. 이후 더 자세하고 도판과 각주가 풍부한 작품을 기대한다.

‘교회‘와 ‘성당‘의 쓰임이 명확하지 않다. 심지어 혼재한다. 이렇게 정리하면 좋았을 것이다. ‘교회‘는 비가시적인 조직이며, ‘성당‘ 또는 ‘예배당‘은 가시적인 건물이다.

■˝옥에티˝■

325쪽 위1줄,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책 한 권 읽고나서, 문단 하나 고르기▪︎
˝
기독교 국가인 비잔티움과 이슬람 국가인 오스만제국은 서로 다르게 보이지만, 크게 네 가지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첫 번째 공통점은 두 제국 모두 ‘세계사‘라는 주무대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뒷전으로 밀려났다는 것이다. 현재 시점에서 볼 때 이러한 평가는 낡은 것이 되었지만, 서구 중심적 시각의 세계사에서 비잔티움제국과 오스만제국은 문화적인 타자‘로 여겨졌다. 가톨릭 로마가 서구 유럽의 중심이었다면, 동방정교회의 중심지였던 비잔티움(동로마)은 그 ‘서자(庶子)‘였다. 비잔티움은 부패하고 타락한 나라로 인식되었고, 비잔틴(byzantine)이라는 말이 상투적 형용사로 사용될 정도였다. ‘비잔틴적 세금‘, ‘비잔틴적 음모‘ 등이 그 예다. 비잔티움이 그리스와 로마 문화를 계승한 공에 비하면 야박한 평가이다. 그렇다면 오스만제국은? 유럽 에서 볼 때, 오스만제국은 ‘성전‘을 위해 여러 세기에 걸쳐 유럽을 침략하며 유럽 세계를 공포에 휩싸이게 한 장본인이었다. 19세기 유럽의 제국주의적 시각에 따라 동·서양은 이분법적으로 갈라졌고, 동양에 대한 서양인의 편견과 선입견이 반영된 오리엔탈리즘이 유행하면서 오스만제국의 역사와 문화는 왜곡되었다. 거기에다 서구 열강의 팽배한 제국주의 열풍으로 오스만제국은 ‘병자(sick man)‘ 취급을 받으며 식민 찬탈의 ‘밥‘이 되었다.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압박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오스만제국의 ‘국격‘은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5~6쪽– 「프롤로그 『중간세계사, 비잔티움과 오스만제국』을 쓰는 이유 – 두 제국의 공통점」 중에서.
˝
---

#중간세계사 #비잔티움과오스만제국 #이희철 #비잔티움 #byzantine #byzantiim #동로마 #오스만 #osman #책 #독서 #책읽기 #書冊 #冊 #圖書 #図書 #本 #libro #liber #βιβλίο #book
---
▪︎2025.05.08.(목)▪︎
---
<===>
https://www.instagram.com/p/DJZTJC2TQxA/?igsh=aXI3b3dubHBjczBp

https://www.facebook.com/share/p/1BoJQdXK9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대로 괜찮아
조 켐프 신부 지음, 서영필 옮김 / 성바오로출판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대로 괜찮아』

▪︎원서: 《Are You Good Enough Yet?: A Book for Perfectionists and All Who Try Too Hard and Worry Too Much(괞찮나요?: 완벽주의자와 지나치게 애쓰며 노력하고 걱정이 많은 모든 이를 위한 책)》(145×206×13㎜ 96쪽, 110g, Twenty-Third Publications/Bayard Faith Resources, 2024.01.12.)
- https://twentythirdpublications.com/products/are-you-good-enough-yet?srsltid=AfmBOooGhSeBS38m4xKD6eUBr_lANum6j7NK4eQvxsys_4YHvuAGRdvb
▪︎조 켐프(신부, Joe Kempt) 지음/서영필 안젤로(신부, 성바오로수도회SSP 수사) 옮김, 120×188×11㎜ 174쪽 225g, 성바오로 펴냄, 2025.04.15.
- https://m.paolo.kr/goods/view?no=9167
---
‘완벽주의, 지나치게 애쓰는 사람, 걱정이 많은 사람.‘
이렇게 살지 않고도 살아남는 사람이 있다면 필시 인조인간이거나 외계인일 것이다. 결국 스스로 불안에 사로잡히는 우리 모습이다. 성장기 때에 겪은 갈등에서 원인을 찾아내어 있는 그대로도 더할나위 없이 괜찮은 자신을 찾도록 이끌어 주는 책이다. 지은이도 성장기를 보내며 부모와 부딪힌 갈등 경험이 있어 공감한다고 한다.

분명 누구나 지난 시절에 고통이나 갈등으로 옭아맨 감정이 현실을 지배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하여도 각 장의 다정다감한 스토리텔링을 따라가며 평화와 자유로움을 찾아 보았다. 부록에 이르니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깊은 평화 안에 머물고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자격이 애초부터 있었는데 다만 즐길 여유가 없었음을 느꼈다. 그조차도 없었던 것이 아니고 여유를 만들지 않았던 것이다.

왜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라는 격언은 꼭 다 지나고나서 늦으막한 즈음에서야 나를 다그치는가! 이나마도 남았으니 빠르리라! 스무 살 되던 해 연초에 「독서신문」 정기구독자 부록으로 받아 읽었던 『新編 생각하는 生活–名士七○人隨想集(신편 생각하는 생활–명사 칠십인 수상집)』(독서신문사 펴냄, 1978.02.10.)에 쌓인 먼지를 털다가 펼쳐보니 사십칠 년 전 일이다. 아마 그때에도 분명 늦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책장 종이 변색이 경고한다.
---
▪︎책 한 권 읽고나서, 문단 하나 고르기▪︎
˝
[···] 평범하고 불완전한 하루를 살면서도 멋진 삶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저도 여러분도 매일 모든 평범하고 일상적인 활동(침묵과 상호 작용의 리듬, 아름다움과 평범함, 좌절과 성공)에 진심으로 집중한다면 어떤 평범한 하루의 끝에도 ˝오늘은 정말 멋진 하루였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 다.[···] 우리는 종종 하루를 달리듯 살아갑니다. 앞날에 대해 너무 불안해하거나 짧은 순간에도 너무 많은 것에 집중하느라 그 속에 담긴 진정한 축복을 놓치거나 잊어버립니다. [···] 평범하고 불완전한 일상이 아니라 특별하거나 극적인 무언가가 있어야만 멋진 하루라고 여깁니다. [···] 증상은 ‘~면 좋을 텐데‘라는 말이 우리의 세계관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릴 때부터 시작됩니다. [···] 그러나 이미 늦었습니다. [···] 해결책은 [···] 일상의 평범함에 깃든 축복을 깨닫는 것입니다. [···] 무엇이 정말로 나를 기쁘게 하는가? 지금 내 주변에 어느 정도는 있지 않을까?
–58~60쪽– 「평범한 하루」 중에서.
---
#그대로괜찮아 #완벽주의자 #지나치게애쓰는사람 #걱정이많은사람 #AreYouGoodEnoughYet_ABookforPerfectionistsandAllWhoTryTooHardandWorryTooMuch #TwentyThirdPublications #BayardFaithResources #조켐프 #JoeKempt #서영필_안젤로 #성바오로
#책 #독서 #책읽기 #書冊 #冊 #圖書 #図書 #本 #libro #liber #βιβλίο #book
---
▪︎2025.04.21.(월)▪︎
<===>
https://www.instagram.com/p/DIyrc0tzko_/?igsh=bnBodTlod3AwYXE=

https://www.facebook.com/share/p/19GUcDvMf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완서의 말 - 소박한 개인주의자의 인터뷰 마음산책의 '말' 시리즈
박완서 지음 / 마음산책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의 말 – 소박한 개인주의자의 인터뷰』
— 말에 지성이 실린 책 마음산책 ‘말‘ 시리즈 열 번째 —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 지음/호원숙 비아 머리말, 153×218×17mm  200쪽 417g, 마음산책 펴냄, 2018.
---

겨울 지나 다가온 봄을 새치기로 막아 선 늦가을 같은 날에 우박까지 맞으며 떨다가 들어선 곳에서 따뜻한 눈길을 보내는 표지에 이끌렸다. 따뜻한 눈길 속에 예리한 눈빛을 보았다. 살아있는 그대로 입말을 전하는 1990년부터 1998년까지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1931~2011) 대담집.

스무 살을 시작하면서 정기구독을 하던 잡지 여럿 중에 <문학사상>이 있었다. 1985년 03월호에 첫 회 연재를 한 「미망」. 첫 회부터 회를 거듭할수록 읽으면 누군가 뒤에서 목을 조르는 것처럼 숨이 막히고 가슴이 답답했다. 연재가 이어질수록 더욱 심했다. 광고까지 빼놓지 않고 읽던 잡지인데도 이 소설 연재 부분만큼은  몇 회 지나 읽기를 중도 포기했다. 지금은 말고 나중에 모아 읽겠다고 모아 놓은 잡지는 결국 읽지 않고 폐지로 버렸다. 연재를 마치고 1990년 가을 단행본으로 나왔을 때 서점 평대에서 차례 한번 펼쳐 보지 않고 표지만 뚫어지게 쳐다보다가 돌아온 일이 몇 번인지 모른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그냥 ‘未忘‘이라는 한자 표제 이미지가 무서웠다. 그러다가 결국 사 들고 왔다. 이후 책장 속에서 수감 생활을 하다가 재활용품 수집하는 어느 날 상자 속에 파묻어 내놓았다.

텔레비전에서 드라마로도 나왔지만 연속극이라 싫어 지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저기 올라오는 단편 기사는 요리조리 잘 찾아 읽어왔다. 소설을 읽지 않고 눈요기 귀동냥으로 뗀 셈이다. 작년 2024년에 개정판이 나왔다는 소식에 귀가 번쩍 뜨여 시도해 보려다 또 손을 놓았다. 나에게 소설 ‘미망(未忘)‘은 평생 미망(未望)인가!

이름만 남은 봄이 가기 전에 먼저 ‘박완서 기념관‘에 찾아가서 ‘나의 미(未)‘를 풀어야겠다.
▪︎인창도서관 2층 박완서 자료실▪︎
https://www.gurilib.go.kr/inlib/index.do

---
▪︎책 한 권 읽고나서, 문단 하나 고르기▪︎
˝
•김경수
의외스러웠던 게 ‘나목‘이라는 말인데요. 이게 실은 일본 명이 아닌가 싶은데, 우리의 경우 헐벗은 나무에 대한 명칭은 ‘나목‘보다는 ‘낙목‘이라고 기억하고 있거든요.

•박완서
‘나목‘이라고 붙이면서 사전을 찾아봤는데도 나와 있지 않았어요. 흔하게 그냥 벌거벗은 나무, 고목하고는 다른 의미로, 나중에도 그런 얘기를 했지만, 그게 어쩌면 정말 일본에서 빌려온 뜻인지도 모르겠어요. 그 전에도 이걸 쓸까 말까, 첫 작품이고 하니까 이름 붙이는 데에도 참 신경이 많이 쓰였는데, 그냥 써봤을 때의 그 이미지 같은 것에도 굉장히 애착을 갖고 있었어요. 지금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지만 그때는 사전에도 그게 없어서 쓸까 말까 했었는데, 시어로는 그 말이 흔히 쓰였어요. 언어를 다듬는 시인들이 많이 쓰니까······ 하는 생각, 그리고 그것에 대한 애착을 버릴 수가 없었어요. ‘벌거벗은 나무‘ ‘헐벗은 나무‘ ‘겨울나무‘ ‘가을나무‘래두 뭔가 소녀 취향 같은데, 그게 그냥 괜찮게 느껴졌어요. 소설에도 나옵니다만 박수근 씨 유작전에서 본 건데. ‘나목‘이라는 이름은 아니고 ‘나무와 여인‘ 뭐, 이런 것이었는데 하나도 이파리를 단 나무가 없었어요. 나무 밑에 소녀가 있건 노인이 있건 나무에는 이파리가 없구······
– 80~82쪽 – 「저문 날을 건너오는 소설」 중에서.
---

▪︎이 대담집의 대담자와, 대화를 나누었던 때와, 당시 나이를 비교하며 읽었다.

1. 어머니의 개인주의로부터
호원숙 비아(1954~)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07주기)
「들어가며」 2018.07.

2. 다시 살아 있는 날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59살)
고정희(41살, 시인, 1948~1991)
<한국문학> 1990.01.

3. 극복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하여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59살)
정효구(32살, 문학평론가∙시인, 1958~)
<문예중앙> 1990.여름.

4. 저문 날을 건너오는 소설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60살)
김경수(29살, 문학평론가, 1962~)
황도경(세례명미상, 29살, 문학평론가, 1962~)
<문학정신> 1991.11.

5. 그 가을의 하루 동안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62살)
공지영 마리아(30살, 소설가, 1963~)
『문학동네』 제1호(1993.11.)

6. 차오를 때까지 기다려야 해요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65살)
오숙희(37살, 여성학자, 1959~)
<참여사회> 1996.1/2.

7. 상처 속에 박혀 있는 말뚝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66살)
권영민(49살, 문학평론가, 1948~)
<라쁠륨(La Plume)> 1997.겨울.

8. 아름답고 행복한 시간
박완서 정혜 엘리사벳(67살)
피천득 프란치스코 금아(88살, 시인∙수필가∙영문학자, 1910~2007)
김지용(우먼센스 기자)
<우먼센스> 1998.
---
▪︎2025.04.13.(일)▪︎
---
#박완서의말 #소박한개인주의자의인터뷰 #박완서_정혜엘리사벳 #호원숙비아 #마음산책 #미망 #나목 #대담집
#책 #독서 #책읽기 #書冊 #冊 #圖書 #図書 #本 #libro #liber #βιβλίο #book
<===>
https://www.instagram.com/p/DIeL-YTzdHu/?igsh=dWY5YzVvbnJ4NXYx

https://www.facebook.com/share/p/1G1Hwvf3Y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령은 소박하지만 편리한 가이드
미셸 존스 슈뢰더 지음, 서영필 옮김 / 성바오로출판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령은-소박하지만 편리한 가이드』

▪︎원서《The Handy Little Guide to the Holy Spirit》(86쪽,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Division, OSV, Inc., 2019.)
▪︎[미카엘 요한]미셸 존스 슈뢰더(Michelle Jones Schroeder)지음/서 영필 안젤로 SSP(1961~) 옮김, 120×183×6mm 94쪽 109g, 성바오로 펴냄, 2024.
https://m.paolo.kr/goods/view?no=9043
---
신이 있다니 없다니 하는 해묵고 알맹이 빠진 논쟁을 어쩌다가 멀찌감치서 오며가며 읽는 재미는 가히 꿀맛이다. 다만 눈팅으로만이다. 끼어드는 순간 나락으로 빠져간다. 믿는다는 신자 사이에서도 성령은 그런 대상일 때가 많다. 이런 저런 비유를 들지만 맞아 떨어질 수도 없고 설명을 하지만 완전할 수 없다. 오해하는 경우 안 하는 것만 못하다.

역시 지은이는 명쾌하다. 이론이나 신학으로 접근하는 것은 지은이의 몫이 아니라며 적절한 이론서을 추천한다. 이 책은 그저 우리 곁을 늘 에워싸고 있는 ‘본당 자매님‘ 입장에서 성경 말씀을 바탕으로 보이지 않지만 느낄 수 있는 성령 하느님을 고백하는 안내서이다.
---
▪︎책 한 권 읽고나서, 몇 문단 고르기▪︎
˝
성령은 말 그대로 우리가 있어야 할 곳으로 정확하게 인도해 주십니다. 성령은 오늘도 우리를 인 도하고 계십니다. 미사에 초대하는 친구를 통해서, 또는 노숙자 쉼터에 필요한 봉사자 공지를 통해서일 수도 있습니다. 큰아이가 어릴 때 본당 엄마들 모임에 참석하게 된 것은 성령의 이끄심이었습니다. 그전에는 본당에서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고 어떤 본당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성령의 이끄심에 귀를 기울인 덕분에 저는 놀라운 여성들을 만날 수 있었고, 그들 중 많은 여성과 여전히 친구로 지내며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본당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었습니다. 성령은 씨앗을 심는 분이시고 우리는 물을 주어야 합니다. 성령은 우리를 이끄시지만 우리를 안아 올려서 직접 데리고 들어가지는 않으십니다. 항상 그렇듯이, 우리는 구원을 위한 하느님의 계획에 기꺼이 참여해야 합니다.
–35쪽–「조사 보고서」 중에서.

우리는 현재 성장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다시 시도하는 것입니다. 또한 성령만이 우리를 이끄시는 유일한 분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불행하게도 사탄 또한 주님께서 우리 안에서 이루고자 하시는 일을 보고 있으며, 잘못된 방향으로 이끄는 신호로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려고 시도할 것입니다. 기도를 통해 신중하게 식별하면 그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성체 조배 시간에 예수님과 함께 조용히 앉아 시간을 보냅니다. 하느님의 뜻을 헤아릴 수 있도록 통찰의 은사를 청하는 기도를 합니다. 실수를 했다고 해서 모든 것을 포기하는 유혹에 굴복하지 마십시오. 계속해서 성령과 대화하고 성령이 인도하신다고 믿는 길로 한걸음씩 나아가십시오. 우리가 잘못된 길을 가고 있다면 성령은 부드럽게 방향을 바꾸어 주실 것입니다.
–83~84쪽–「오소서, 성령이여」 중에서.
˝
---
#성령은_소박하지만편리한가이드 #TheHandyLittleGuidetotheHolySpirit #미셸존스슈뢰더 #MichelleJonesSchroeder #서영필_안젤로 #OSV #성바오로 #SSP #성령 #Spiritus #HolySpirit #책 #독서 #책읽기 #書冊 #冊 #圖書 #図書 #本 #libro #liber #βιβλίο #book

▪︎2025.03.08.(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의 순례자들 - 우리는 길 위의 이방인
김정용 지음 / 바오로딸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망의 순례자들-우리는 길 위의 이방인』

김 정용 베드로(광주가톨릭대학교 총장, 광주대교구 신부, 1963~) 지음, 120×170mm 100쪽 127g, 바오로딸 펴냄, 2024.
https://m.pauline.or.kr/?pId=FMGD0020&code=07&subcode=,B&gcode=bo1010229&cname=book
---
지은이는 희년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하고 다음 다섯 주제를 들어 희년의 순례 여정을 이끈다. 희년 선포 칙서 「희망은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Spes Non Confundit>)와 함께 보면 좋을 안내서이다.
1. 희망은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2. 문을 활짝 열고 해방과 구원의 풍악을 울려라!
3. 희망의 순례자인 예수 그리스도
4. 희망의 순례자인 교회
5. 희망의 순례자인 그리스도인

2025년 정기 희년 주제는 ‘희망의 순례자들’이다. 하지만 나는 ‘희망순례자‘라 하고 싶다. 구태여 조사 ‘의‘를 넣지 않아도 아무 문제가 없으려니와 유독 교회 안에서 여기저기 쓸데없이 갖다 붙이는 ‘들‘도 거슬린다. 수(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우리말에 굳이 복수 흉내랍시고 억지로 같다 붙일 이유가 없으니 말이다.
---
▪︎책 한 권 읽고나서, 문단 하나 고르기▪︎
˝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의 희망의 순례는 우리가 사는 세상의 해방과 구원을 위한 새로운 시선, 새로운 전망을 보여주고, 새로운 이야기를 써 내려가는 여정이기도 하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방인으로 이 세상에 오셔서 세상의 논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롭고 권위 있는˝(마르 1,27) 이야기를 하셨듯이 말이다. 이를테면 삼위일체 하느님의 신비와 같은 이야기가 그것이다.
–87쪽– 「5. 희망의 순례자인 그리스도인」 중에서.
˝
---
▪︎2025.03.3.(월)▪︎

#희망의순례자들 #우리는길위의이방인 #김정용베드로 #바오로딸 #2025희년 #IubilæumADMMXXV #Giubileo2025 #Peregrinantes_in_Spem
#책 #독서 #책읽기 #書冊 #冊 #圖書 #図書 #本 #libro #liber #βιβλίο #book
<===>
https://www.instagram.com/p/DGuot3txrZ5/?igsh=ZGluY3R6OXpoaGF6

https://www.facebook.com/share/p/15vZ78ajK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