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없는 곳을 찾고 있어
쇼노 유지 지음, 오쓰카 이치오 그림, 안은미 옮김 / 정은문고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짜 나의 모습은 남이 결정해 주는 것일지도 : 아무도 없는 곳을 찾고 있어 - 쇼노 유지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고향이자 대도시가 아닌곳에서 커피 로스터리 하우스를 차리고 10여년째 운영하고 있는 작가가 쓴 에세이 집이다. 책의 반정도는 자영업을 하게 되면서 생긴 에피소드와 경영에 관련된 소회를 담고있고, 나머지 반은 자신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다. 여러 경영이나 자영업 관련 책을 읽으면, 어느정도의 성공을 거둔 사람들의 이야기는 깔때기처럼 몇가지 귀결되는 이야기가 있는 것 같다. (아마 성공을 해보지 못한 구. 망한 자영업자 나같은 사람은 좀 더 배워야 한다는 이야기겠지) 책의 중반까지 이뤄지는 본인의 무턱대고 시작하게 된 커피콩을 볶는 여정부터가 심상치가 않다. 여행사에서 오래 근무했는데, 갑자기 처자식도 있는 가장이 갑자기 커피콩을 볶는 기계를 사버린다. 현실적인 팁으로는 뭔가를 하고싶다면 일단 돈을 먼저 모으라고 ^^. 정말 당연한 이야기다 사업자금을 빌려오는 것도 능력이고, 모아놓은 자기자본으로 차리는 것도 능력이다. 여차저차 가게를 열기로 했는데, 개점 나흘 전까지도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맛을 내는 제품을 만들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놀라웠다. 자신만의 기준이 높아서 그런것일거라고 생각해야겠지만 그래도 너무 촉박한 느낌! 이후 가게를 한적한 시골 동네에 차려서 여차저차 했지만, 도쿄의 기치쵸지에 있는 유명한 편집샵에서도 위탁판매를 하게되고 매스컴도 타는 등 소소한 성공으로 이름나게 된다. 경영 철학 중 원두는 볶은 지 7일 이상 되는 제품을 팔지 않는다는 철학을 가진 것과, 할인을 한 제품을 팔게 되면 정가로 제품을 살 때 비싼 느낌을 받게 되므로 정가제를 준수한다는 내용도 인상 깊었다. 확실히 정가로만 살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할인해서 손해를 입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어서 제품을 구입하는 시기를 크게 따지지 않게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제목에도 썼듯이 커피를 마시는 일은 커피콩 본연의 맛도 중요하지만 분위기도 매우 중요하다. 그 공간을 정의해주는 것은 여기는 이런분위기야라고 정의내려 주는 손님이 있기 때문이므로 이부분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조용한 곳에서 장사를 시작하게 되면 그 동네에 녹아들어서 빨리 친숙해지거나, 혹은 걸맞지 않게 튀더라도 오너가 원하는 방향의 곳이 되고 싶다면 (시간은 좀 걸리더라도) 오너의 만족감은 커질 것이라고 한다. 어떤 방향성으로 가게를 꾸려가고 싶은지에 대한 생각을 좀더 해보라는 이야기로 들었다. 아마 대부분의 자영업자가 그리고 싶은 공간의 이상향은 있으나 매출과 고정비와 인건비 그 어딘가의 사이에서 괴로워하고 있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다.

대신 경영하는 동안 최선의 제품을 팔아 손님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려는 기본 원칙은 잊지 않아야 하겠다.

책의 경영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이야기 했는데, 주인장의 소탈한 이야기들도 읽어보면, 재미난 것이 많이 있다. 그래서 아마 최근 개업한 카페의 경우에는 문화공간을 겸하는 그 힙한 공간으로 채운 것 같다. 언젠가는 방문해보고 싶어서 구글 지도에도 등록해놓았다. 그곳의 커피를 맛볼 수 있는 날이 오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