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한번인.생>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딱한번인.생
조대연 지음, 소복이 그림 / 녹색문고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언제부터였을까?
책 표지와 서문을 읽으며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며 책을 읽기 시작한 것이.
예전에 책을 읽을 때는 서문이고 차례고 다 건너뛰고 내용만 홀랑 읽고, 심지어 후기도 안 읽었었습니다. 저자의 의도, 책의 목적을 알기는 쉬웠으나, 그 만큼 흥미진진함은 감소한 듯 합니다. 어떤 내용일지 예측하고, 예측한 것이 맞아들어가는 즐거움만큼, 예상못한 것과 마주치는 즐거움을 떨어져나갔죠. 예상치 못한 즐거움을 되찾고자 내용부터 읽고 싶은데... ... 버릇이 들어 쉽지 않네요.
그래서 이번에 받은 [딱한번 인.생]도 언제 생긴 버릇인지 모르는 표지와 서문으로 이 책이 쓰여진 이유를 파악한 다음 읽었습니다. 표지도, 서문도 보지말고 읽기 시작할 걸 후회하면서요. 책 속의 풍부한 일러스트들은 예측 외여서, 내용을 예측하지 않았더라면 더 재미있지 않았을까. 서문으로 주제를 파악했기에, 무의식적으로 주제에 맞는 이야기를 펼쳐놨나 감시하려고 해서, 감동받고 되새길 문구들을 많이 놓친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아무튼 서문에서 저자들은 1000명 중 한명만이 될 수 있다는 부자에 대하여 말하며 기적적으로 태어나서 999명이 될 것이 뻔한 인생에 뛰어들겠냐고 묻습니다. 아무리 몸부림쳐도 1000명 중 한 명 밖에 못 되는 그 부자되기를 인생의 목표로 삼아서, 5천조분의 1의 확률로 태어난 사람이 999명의 들러리, 평범씨로 인생을 보낼 것이냐고.
[딱한번 인.생]은 '어디에나 있고 그래서 아무 데도 없는 사람'인 것 같은 평범씨의 인생을 보여줍니다. '울며 태어나서 비슷한 돌잔치를 거치고, 공부해서 진학하고 1000분의 1로 이뤄지는 부자되기 꿈을 꾸며 살아가다가 똑같은 평범한 삶을 자녀에게 물려주고 죽으므로 흩어지는' 인생을 말입니다.
그러나 그 평범한 인생 속에서 개별적인 독특함이 있다는 것 또한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최초의 기억같은 것이죠. 비록 살면서 분명치 않아지고 변화할런지는 모르지만,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독특한 것이죠. 누군가는 책 속 평범씨처럼 보라색 혹은 파란색 나팔꽃일테고 누구는 저처럼 소복의 하얀 색깔일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충고합니다. 직접적으로는 아니지만, 평범씨의 인생을 나열하는 문구 사이 사이에서 충고합니다. 1명만 이룰 수 있는 꿈을 꾸며 비슷한 양의 음식을 먹고, 비슷한 시간을 공부하고, 비슷한 시간을 일하며, 비슷한 물건을 사기 위해 애쓴는 999명의 인생을 보내지 말라고요. 1000명 중 딱 한 명만 이룰 수 있는 인생을 꿈꾸며 '천 명(혹은 999명)의 인생'을 살지 말고, 각각 다른 1000명의 기적같은 '딱한번 인.생' 을 살라고요.
'평범한 인생도 특별하고 소중하다'라고 말해주는 책을 좋아하지만, '특별하고 소중해야 할 인생을 평범한 인생으로 만들지 말라'고 하는 이런 책도 좋네요. '남들처럼은 살아야지'라는 강박관념이 생겨날 때 펴보면 좋을 듯합니다. 특별한 인생을 살겠다는 기특한 결심은 못해도 '이미 남들만큼 살고 있어'하고 만족하게 만들어 줄 것 같아요.
뱀다리 하나 ; "죽은 뒤에도 나는 여전히 나일까?"란 문구가 나온 순간 오싹~ 어떤 작가가 한 말인 지 모르지만 나 역시 "지옥에 떨어져도 좋으니 정말로 천국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합니다. 나만 두려워하며 한밤중에 잠에서 깨어나 덜덜 떠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한다는 점에서 위안을 얻다가, 명확한 답변이 없음에 절망하기도. 차라리 광신자가 된다면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뱀다리 둘 ; 또 서평쓰다 날릴 뻔 했다. 별점을 주지 않았다는 건데... 하지만 제목 쓰기 전에 줬단 말이지!! -ㅁ-++ 다행히 임시 저장이 되어 있었길 망정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