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두사의 시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메두사의 시선 - 예견하는 신화, 질주하는 과학, 성찰하는 철학
김용석 지음 / 푸른숲 / 2010년 1월
평점 :
[메두사의 시선]이란 제목도 의아했지만, 표지에 적힌 '예견하는 신화, 질주하는 과학, 성찰하는 철학'이라는 문구가 더 의아하게 느껴졌던 책이었습니다.
'예견하는', '질주하는', '성찰하는' 등의 문구는 각각 어울렸지만, 신화와 과학, 철학이 어울린다?
과학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학문이고, 철학은 잘 알지 못하지만 머리 속 생각에 대한 것이라는 이미지가 있으며, 신화는 가장 이질적으로 그냥 '이야기'라 가위, 바위, 보와 같은 이미지 아닌가? 과학과 인문이 어울려야 한다고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한다는 것은 사실 잘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 아니었나?
어떻게 섞일 수 있을까?란 궁금증은 1장인 메두사의 시선을 읽으면서 풀렸습니다.
1장 메두사의 시선은 그리스 신화의 메두사 이야기를 통해, 단 한가지의 통합된 이론을 추구하는 과학을 설명하고, 그 과학의 철학적 의미를 풀어놓습니다. 통합된 이론의 추구에 관해서는 학부 때 레포트로 나간 [과학의 종말 - '통합된 하나의 이론으로 모든 것을 설명함으로써 과학에 종말이 올 것이냐에 대한 토론 이야기'로 알고 있는... 초반에 읽다 나가떨어져서 ㅜㅜ] 때문에 알고 있었습니다. 그것을 메두사의 시선으로 설명한 부분이 꽤 재밌었습니다. 메두사는 시선으로 모든 것을 돌로 만드는 데, 페르세우스가 이 메두사의 머리를 잘라 학문과 기예(기술)의 여신인 아테나에게 바칩니다. 여신은 그 머리를 자신의 방패에 매다는데, 여기서 '예견하는'이라는 단어가 맞아들어가게 되더군요. 어떤 분야의 과학이든 모든 것을 아우르는 하나의 법칙을 발견하고자 애씁니다. 저자는 과학자들이 찾고자 하는 '모든 것을 아우르는 법칙'을 '모든 것을 돌(혹은 수정)로 만드는 메두사의 시선'이라고 말합니다. 아테나의 방패에 메두사의 머리가 붙게 되는 것은 과학의 표면에는 '하나의 법칙'을 추구하는 특성이 있다고 예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요.
1장의 이런 이야기들(저자는 '에세이'라고 말합니다.)이 12장까지 이어집니다.
각 장의 소제목으로 각 에세이가 무엇을 말하는지를 정리해서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5장 크로노스와 서사 권력의 소제목들은 '크로노스는 무엇을 삼켰나/자연적 시간/서사적 시간/'서사 권력'에의 의지'인데 이 소제목에 따라 에세이가 진행됩니다.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의 아버지 크로노스는 자신의 아버지처럼 자식에게 제거당할 것이 두려워 태어나는 아들, 딸 들을 삼키는 내용과 그리고 그 신화가 상징하는 내용에 대한 것이 첫 번째(현재를 유지하기 위한 미래 시간을 삼킨다는 자연적 시간에 대한 철학적인 이야기), 과학에서 말하는 시간에 대한 내용이 두 번째, 그러나 크로노스는 불노불사이므로 미래시간이 가져올 죽음을 두려워해 자식을 삼킨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서사(이야기) -혹은 권력'의 유지를 위해 자식들을 먹었다는 해석이 세 번째, 그리고 그 서사 권력(서사적 시간)에 대한 이야기가 네 번째 이야기입니다. 이 연속적인 내용들을 통해 시간이 신화적, 자연적(과학적), 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되는지, 그리고 시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됩니다. 전체적으로 내용이 예상했던 것만큼 어려워서, 소제목들이 각 장의 내용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저자는 사족이라면서도 서문을 달아 놓았습니다. 서문을 통해 '생각하는' 실험을 보여주므로 이야기처럼 읽으라고 충고합니다. 이야기처럼 읽기 쉽게 하려고 주석, 각주를 다 빼놓았다고... ... 물론 그 의도대로 꾸준히 읽긴했지만, 이름이 나온 철학자나 이론, 과학자들이 뭐하는 사람들인지 몰라 답답한 면이 좀 있었습니다. 언젠가 어린이 책에 주석을 너무 잘 달아놔서 탐구심을 깍아내린다고 주석따위 없어야 한다고 투덜거린 적이 있는데, 직접 당해보니 대략 남감이네요.^^; 서문에서 미리 고려했다는 말이 없었으면, 읽으면서 어려운데 주석도 없는 불친절한 책이라고 생각했을 듯 합니다.
신화는 어렸을 적부터 접했던 이야기라 쉬웠고, 과학 이론도 그럭저럭 따라갈 수 있었는데 철학은 낯설어서인지 많이 어려웠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였던 신화와 익숙한 과학 이론으로 이토록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내놓는 이론 이면에 철학이 있었고, 또 고대부터 철학자와 과학자가 같은 사람인 경우가 많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 곳도 좋구요.
그러나 어려웠기에 서평도 결국 기한이 지나서야 쓸 수 있었네요. ㅠㅠ
원래 철학 서적을 즐겨 읽거나 철학에 관심이 있다면 독특한 책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신화는 둘째치고 과학은 철학에 쉽게 어울리는 소재가 아니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