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황 레오 14세 - 최초 공식 전기
도메니코 아가소 지음, 이재협 외 3인 옮김 / 가톨릭출판사 / 2025년 7월
평점 :
찬미 예수님!
안녕하세요. 지구가 역대급으로 뜨거웠던 어제, 7월 8일 가톨릭출판사에서 새 교황 레오 14세의 최초 공식 전기를 번역‧출간했습니다. 날씨도 핫~! 관심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새 교황님의 전기 출간에 대한 화제성도 핫~! 했습니다. ^^ 저는 감사하게도 가톨릭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게 되었습니다. 『교황 레오 14세』는 단순한 인물 소개를 넘어, 왜 지금 이 시대에 교황님께서 선택되셨는지, 그리고 어떤 교회를 꿈꾸고 계신지를 조명하는 책입니다.
교황 레오 14세께서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영향을 깊이 받으신 분으로, “한 분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하나입니다”라는 사목 표어를 통해 교회의 방향을 분명히 제시하셨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이후 교회는 깊은 슬픔 속에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해야 했고, 중심 교구가 아닌 선교지 출신 주교인 교황님께서 선출되신 일은 매우 이례적인 선택이었습니다. 이는 변방을 향한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사목 정신이 이어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교황님께서는 첫 연설에서 성 아우구스티노의 말씀, “여러분을 위하여 저는 주교이지만, 여러분과 함께 저는 그리스도인입니다”를 인용하시며, 함께 걷는 동반자로서의 교황상을 제시하셨습니다. 위에서 이끄는 권위자가 아니라 곁에서 함께 걷는 순례자로서, 신자들과 같은 눈높이에서 교회를 이끌어가고자 하시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교회는 상처 입은 이들, 멀어진 이들, 소외된 이들을 향해 먼저 다가가야 하며, 사랑과 경청, 동반의 정신으로 열린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교황님의 사목 표어는 단순한 일치의 외침이 아니라, 다양성 안에서의 깊은 연대를 지향하는 선언입니다. 교회는 획일적인 조직이 아니라, 프리즘처럼 다채로운 얼굴을 통해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내는 공동체라는 점을 강조하시며, 이는 현재 교회가 함께 걷고 있는 시노드 여정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참여, 친교, 사명이라는 핵심 가치는 교황님의 사목 철학을 이루는 중요한 기둥입니다.
‘레오’라는 이름을 선택하신 이유는 사회문제에 책임 있는 목소리를 내셨던 교황 레오 13세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하셨기 때문입니다. 끝없는 기술 발전과 무절제한 소비가 인간을 점점 하느님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드는 이 시대에, 교회가 잃어버린 중심, 곧 하느님의 자리를 회복해야 한다는 교황님의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인간이 기술의 노예가 되지 않도록, 삶의 중심이 다시 하느님께 향하도록, 교회가 책임 있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전쟁에 대한 단호한 반대 역시 분명히 하셨습니다.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의가, 정의를 이루기 위해서는 진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시며, 진리는 결코 가짜뉴스일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셨습니다. 교회는 단지 영적인 피난처가 아니라, 세상 속에서 진리와 정의, 평화를 실현하는 사랑의 공동체여야 함을 분명히 하셨습니다.
교황님의 가슴 십자가에는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유해가 모셔져 있으며, 모니카 성녀, 토마스 성인, 안셀모 폴란코 복자, 주세페 메노키오 가경자의 유해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이는 교황님께서 누구의 전통 위에 서 계시는지, 어떤 영적 유산에서 출발하고 계신지를 보여주는 신앙 고백이기도 합니다. 사랑이 최고의 영성이라는 아우구스티노의 가르침은, 교황님께서 지향하시는 교회의 모습과도 깊이 맞닿아 있습니다.
앞으로 교황님께 주어진 과제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전쟁과 평화, 중국과의 외교 관계, 교회 내 성학대 문제, 평신도와 특히 여성의 역할 확대, 동성 커플에 대한 사목적 접근 등 복잡하고 예민한 이슈들이 교황님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교황님께서는 대화를 중시하시며, 시대의 아픔 앞에 귀 기울이는 태도를 견지하고 계십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자비와 환대를 계승하면서, 교황 레오 14세께서는 사랑과 일치를 새로운 기둥으로 세워가고 계십니다. 제도 중심의 교회보다, 함께 걷는 교회, 얼굴을 가진 교회를 지향하십니다. 그리스도인에게는 어둠 너머를 바라보는 희망이라는 은총이 있습니다. 저는 교황님의 발걸음이 바로 그 희망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교황 레오 14세께서는 세상 속에서 하느님의 얼굴을 다시 드러내시는 순례자이자, 우리를 그 여정으로 초대하시는 동반자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