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갈수록 발전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기만 하면 빠르게 유통된다. 작은 일이든 큰 일이든,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개인적인 일이든 공적인 일이든 퍼지기만 하면 누구나 다 안다. 다만, 그게 진실인지 아닌지는 구분하기 어렵다. 검증이 되기도 전에 이미 사실로 퍼져 나가기 바쁘고 진실과 거짓의 판단 유무는 뒷전으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내 편이라는 이유 하나로 진영논리에 빠져 진짜인데도 숨길 수도, 가짜인데도 진짜라고 주장할 수도 있는 일이다. 뻔히 눈 앞에서 있는 그대로를 보았거나 명백한 사실 증거가 있음에도 매체, 특히 언론에서 사실대로 말하지 않기도 하다. 지금에와서야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분명 옛날부터 상습적으로 알게 모르게 벌어졌을지 누가 알겠는가.
변변치 않은 글을 기고하거나 대필작가 일을 하며 지내던 콜로나는 저널리스트 관련 책 출간을 기획하는 시메이 주필을 만난다. 이 책을 쓰기까지의 과정은 이렇다. 끝내 창간되지 않을 신문이 제작되는 과정에 참여해서 그 과정을 기록하는 것. 그렇게 창간 예비판인 <제 0호>는 여러 기자들을 불러모아 제작에 들어간다. 그런데 브라가도초라는 기자가 무솔리니는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 가설과 함께 증거를 확보해 기사를 준비한다는 걸 콜로나가 알게된다. 그저 소설 같은 음모론이라 여기며 콜로나는 큰 관심을 가지지 않던 중, 브라가도초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는데...
가짜 뉴스를 주제로 다룬 것 답게 작중에서 기획되는 신문부터가 가짜이며 거짓이라는 점이 어떻게 보면 꽤 재미있는 부분이다. 태생부터 가짜라면 온갖 가짜 소식이 쏟아져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 라는 의미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시메이 주필이 기사는 이렇게 써야 한다면서 말하는 부분을 보면 이래저래 충격 받을 만한 부분이 너무 많다. 별거 아닌 걸로 꼬투리잡기가 쉽고. 단어 몇 자 차이로 지역 차별을 조장하고. 사진 하나로 존재하지 않는 다수의 의견을 만들어내고. 관련 없는 사건들을 키워드로만 짜집기 해서 이슈를 만들어내고. 애매모호한 표현 하나로 뭔가 있는 듯이 당당히 주장할 수도 있고. 증거나 사실이 있어도 없는 것처럼 만들어 버리는 것도 가능하고. 당장 눈에 들어오는 것 아무 거나 가져와서 그럴 싸 해보이는 허위사실을 만들어내는 건 순식간이다. 이익에 방해가 된다면 중요 기사거리라도 망설임 없이 눈에 띄지 않도록 배제한다. 어떻게 보면 어처구니없고, 또 어떻게 보기에는 겨우 이런 것에 불과하게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 짓을 할 사람이 누가하고, 이렇게 나온걸 누가 믿겠냐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현실에서는 이 보다 더 한 짓이 넘쳐나고, 아무리 말도 안 되는 걸 믿는 일이 너무나도 많다.
이렇듯 대부분의 내용이 이런 말도 안 되는 기사가 들어갈 신문을 만드는 과정이다. 여러 의견들이 오가는 와중에 때로는 웃기게 보이기는 부분도 있다. 언론은 늘 쓰는 단어나 문구만 써서 표현력이 떨어져 진부하다느니, 굳이 문학적 표현을 써서 무슨 의미인지 못 알아보게 만들 필요가 있나, 하는 논쟁이 제일 웃기지 않았나 싶다. 더 보기 좋게 전달력을 높이는 건 좋은 일이다. 하지만 사실을 전달하기 보다는 무엇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 것인가가 제일 중요하다고 여긴다면 자극성만 가득한 프로파간다나 다름없다. 이런 것에 해당되는 사례 역시 당장 주변에서 찾아봐도 많다.
어떤 기사를 쓸 것이냐가 아니고 만드는 것이라 표현되는 것도 참 적절하다. 만든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던 걸 실체적으로 나타낸다는 걸로 볼 수 있다. 즉,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실제로 있지 않은 걸 만들어낸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무솔리니 관련 부분을 담당하는 브라가도초를 보면 의심을 넘어선 음모론이 발생하는 과정이 나타나 보인다. 자동차를 고르는 과정에 관한 대화 부분이나, 눈 앞에 있는 증거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아무 것도 믿지 않는 그의 태도만 봐도 그렇다. 계속되는 믿음의 배신과 눈 속임을 겪을 수록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생각이 들 것이다. 직접 자료를 찾아보거나 언론이 제대로 보도하지 않는 현장을 찾아가 직접보는 등의 여러 방법이 있다. 그럼에도 의혹이 계속 생겨나고 만다. 이게 전부가 아닐 지도 모른다. 더 높은 인물들이 숨겨놓은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대중은 모르고 당사자들만 아는 숨겨진 진실이 있을 것이다. 이게 바로 음모론의 시작이다. 그럼에도 브라가도초가 공감이 되는 건 왜일까. 단순히 음모론적인 구조가 흥미로워서? 아니면 현실에서 겪은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지금도 각종 언론에서는 여러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는데, 그 중에서 믿을 만한 것이 얼마나 있을지 모를 일이다. 아니, 전부 다 믿지 못한다 해도 이상하지 않을듯 하다. 현재 벌어지는 문제와 상관 없이 이익만 따지며 대중을 속이고 싶어하는 이들은 도처에 널려있으니까. 근거없는 음모론은 나쁘다고는 하지만 이런 음모론이 나오도록 조장하는 건 누구인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실망과 배신이 계속된다면 더 이상의 기대는 없다. 나중에 가서 바른 소리를 한다해도 돌아오는 건 전혀 없다. 진정으로 호소한다해도 돌아오는 건 영원할지도 모를 냉소 뿐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