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순
양귀자 지음 / 살림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왜 그랬는지 어릴 적부터 나에게 '책'이란 물건은 '소설책'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사회과학 책이라든지, 인문사회, 철학 책, 하다못해 수필집도 읽기 시작한 것이 몇 년 되지 않는다. 그래서 나에게 책이란 여전히 소설과 비소설로 나뉜다. 그만큼 소설이라는 책은 나에게 있어 어떤 절대적인 개념과 같다.
그리고 그런 나에게 양귀자의 <모순>은 내 안에서 소설이라는 것이 갖는 의미나 정의 같은 것들이 만들어지는데 아주 많은 역할을 한 작품이었다.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가 고등학교 2학년 때였는데, '소설을 이래서 읽는 거구나'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안진진은 스무 살 중반의 여자다. 만나는 남자가 둘 있다. 그녀는 결혼을 하고 싶다. 그래서 두 남자 중 남편이 될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이 선택을 하기까지, 당연히 그녀가 지나온 인생이 아주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녀의 어머니는 쌍둥이다. 날 때부터 생김새가 너무 똑같아 외할머니조차 구분하기 힘들었다던 두 사람은 결혼과 함께 달라진 인생만큼이나 외모도 너무 달라졌다. 못해도 10살 차이는 나 보인다. 10살 차 나는 언니로 보이는 쪽은 당연히 우리 엄마다.
이모는 능력 있고 자상하기까지 한 이모부를 만나 평생 고생이라고는 할 일없는 평탄한 삶을 산다. 엄마는 방랑벽 있는 아빠를 만나 평생 마음 편할 날이 없다. 나도 어릴 적 몇 번의 가출을 통해 엄마의 속을 썩인 적이 있고, 남동생은 말할 것도 없이 툭하면 사고를 친다.
이모는 작은 일 하나도 '나 이거 죽을 때까지 간직할 거야' 하는 사람이다. 엄마는 자신에게 다가온 일을 과장해 그 일에 굴복하는 식으로 받아들이고 해결하러 다니며 살아온 분이다. 어쩐지 엄마는 아무 일 없을 때보다 사고를 수습하러 다닐 때 생기가 돈다. 나는 어릴 적 엄마와 똑같이 생긴 이모를 보며 혼동하기도 하지만 이모의 자식은 그럴 일이 없다. 하긴 그렇다. 내가 이모의 자식이었어도, 시장에서 싸구려 양말을 파는 엄마와 헷갈려 했을까.
그 사람의 인생이 어때 보이건, 그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는 모르는 거다. 이모의 인생도 그렇다. 평탄했으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죽은 것 같은 삶이 힘들었던 이모의 선택과, 남 뒤치다꺼리 하느라 생각할 겨를조차 없으나 그래서 생동감 있는 엄마의 인생. 두 사람의 삶은 주인공이 남편을 고르는데 엄청난 영향을 준다.
누군가의 말처럼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그리고 선택 후에는 반드시 따라오는 것들이 있다. 내가 선택했기에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들. 나는 이것들이 꼭 장단점이라기보다는 양면성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삶에 존재하는 그 많은 양면성에 대해 처음으로 진지하게 고민하게 만들어줬던 책. 삼십 중반의 나이에 다시 읽으니 느낌이 또 새롭다.
13 사람들이 때때로 어떤 거래나 협상의 자리에서 아주 진지한 얼굴로 "중요한 것은 돈이 아니야"라고 말하는 것을 나는 절대 믿지 않는다. 그런 말은 기교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결국 돈이라는 사실을 세상 사람들은 모두 알고 있다.
25 장미꽃을 주고받는 식의, 삶의 화려한 포즈는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 아니었다. 가난한 삶이란 말하자면 우리들 생활에 절박한 포즈 외엔 어떠한 것도 허락하지 않는 삶이란 뜻이었다.
167 나는 결단코 ‘나‘를 장악하며 한 생애를 살아야 할 사람이었다. 아버지는 못 했지만, 나는 해내야만 하는 것이었다.
204 이모에게 무슨 일이 있을까.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어쩌면 ‘이모에게도 무슨 일이 있을까‘라고 생각했다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 같다.
230 좋은 밤을 보내려면 확실한 예약 없이는 곤란해요,라는 그 말, 그것 혹시 내가 놓치고 있는 인생의 진리가 아니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