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at, Pray, Love (Paperback) -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원서
Elizabeth Gilbert 지음 / Penguin U.S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젠장. 남은 책이 원서밖에 없다. 이제 달랑 세 권 남았으니 얘네만 다 읽으면 전자책 사야지 하고 있었건만 아... 원서가 세 권이나 남았다니!!! 고통이다. 그냥 내일이라도 알라딘 중고서점 가서 몇 권 사 올까? 싶은 마음이 굴뚝이다. 가면 분명 엄청 지르고 올 텐데...
이 책은 영미권에서 유명한 소설이다. 미드에서도 워낙 언급이 많이 되었는데, <빅뱅 이론>에서 페니가 레너드에게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도 안 봤으면 얘기도 하지 마."하고 이야기하는 장면을 보고는 흠? 나도 안 봤으니 한 번쯤 읽어봐야겠군. 하고 역시 알라딘 중고서점에 갔다가 냉큼 집어왔다.
이 책은 소설은 아니고 어느 작가의 경험담이다. 다소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미국 농부의 딸로 태어나 남들처럼 연애하고 남들처럼 결혼해서 남들처럼 아이를 가지려고 노력하다 어느 순간 이게 과연 자신이 원하는 삶일까 궁금해진 주인공은 결혼을 정리하기로 마음먹는다.
사람이 교육받은 것에서 벗어나기란 참 힘들다. 아무리 요즘 세상에, 그것도 미국이니 이혼하는 사람이 많다고는 해도 인생에 있어서 큰일은 맞다. 주인공 리즈도 고통스럽고 지난한 과정을 거쳐 이혼을 한다. 그렇게 힘든 시간은 지나간 줄 알았건만 앞으로 겪게 될 감정의 소용돌이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작가는 문득 늘 해보고 싶은 것을 하기로 결심한다. 요가와 이탈리아어 배우기를 시작하더니, 일 년 열두 달을 4개월로 나눠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에서 살아보기로 결심한다. 그러니까 이탈리아에서는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며 배우고 싶은 이탈리아어를 마음껏 배우고, 체중 신경 쓰지 않고 맛있고 건강한 음식을 먹으며 건강을 회복한 후, 인도에 건너가 요가와 명상에 집중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살피는 고통스러운 시간을 갖는다. 이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평화로운 생활을 하며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천국인 줄만 알았던 발리의 이면을 보기도 하며, 또 다른 사랑을 시작하게 된다.
처음 책을 읽기 시작할 때는 한때 개인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으며 했던 생각이 떠올라 굉장히 공감이 갔는데 이후 인도로 넘어간 작가가 겪는 이야기가 좀 뜬구름 잡는 이야기처럼 보였다. 꿈에 작가의 스승의 돌아가신 스승이 나타나 가르침을 준다느니 명상을 통해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얻게 된다느니. 개인적인 경험이라니 할 말은 없지만.
이후에 발리로 건너 가 만나게 되는 약제사 할아버지와의 대화는 왠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류의 약장수 연설같이 느끼기도 했고 또 다른 치료사 여인 Wayan은 잘 나가다가 마지막에 동남아시아인들 특유의 속물근성(?)을 내보여 실망스럽기도 했지만, 생각해보면 오히려 '이 세상에 천국은 없다, 어딜 가나 나름대로의 문제는 있는 것'이라는 결론으로 가는 결정적 일화가 되기도 해 마음에 들기도 한다.
다 읽고 난 지금은 오히려 글발 수려한 작가에게 속아넘어간 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작가가 겪은 고통의 시간과 생각의 흐름은 공감이 가되, 서양인으로서 동양에 가지는 특유의 무언가 - 동양에는 서양인이 알지 못 하는 '무언가'가 있다는 맹목적인 신비감과, 책에 나온 대로 지난 세기 동양을 식민지 삼았다는 죄책감이 더해진, 동양을 향한 무조건적인 동경 -를 바탕으로 뭐든 지나치게 좋게만 생각하는 태도가 돈으로 모든 논리를 제압하는 대한민국의 서민으로 살아가는 나에게는 글쎄. 물음표의 연속이었다. 어쩌면 인도와 발리가 작가에게 알맞은 답을 던져준 것이 아니라, 답을 구하려는 작가가 만나는 모든 것에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찾아낸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내가 만약 한국인이 아니고 서양인이었다면 영미권 사람들처럼 이 책을 무조건 좋아했을까? 보아하니 상당히 사랑받은 책이던데. 역시 동양인에 비해 서양인들은 뭘 몰라. 나의 결론은 또 이렇게 엉뚱하게 난다. 그래도 힘든 일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충분히 좋아할 작품이다. 힘든 일을 겪고 나면 그대로 끝이 아니라 감정을 결말짓는 과정도 필요한 법이다. 혼자서 아무리 고민하고 생각해 봐야 남에게서 듣는 것만 못 하니까. 깨어진 마음의 잔해를 남의 글로 들여다보는 흔치 않은 기회는 의외로 나에게도 위로가 되었다. 그러니 뒤쪽의 추상적인 이야기는 그러려니 하는 걸로. 그리고 작가의 책은 이 책 한 권으로 만족하기로 한다.
19 Go back to bed, said this ominiscent interior voice, because you don‘t need to know the final answer right now, at three o‘clock in the morning on a Thursday in November.
돌아가서 다시 자라, 내 안에서 전지전능한 자의 목소리가 들렸다. 지금 당장 답을 알아야 할 이유는 없으니까. 11월의 어느 목요일 새벽 세 시에, 답을 알아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82 I wanted to take on pleasure like a homework assignment, or a giant science fair project. I pondered such questions as, "How is pleasure most efficiently maximized?"
나는 행복을 마치 숙제나 심각한 과학 숙제 제출품처럼 생각했었어. "어떻게 하면 행복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극대화 할 수 있을까?" 하고 심각하게 고민하고는 했었지.
94 "When you are standing in that forest of sorrow, you cannot imagine that you could ever find your way to a better place. But if someone can assure you that they themselves have stood in that same place, and now have moved on, sometimes this will bring hope." "So sadness is a place?" Giovanni asked. "Sometimes people live there for years." I said.
"네가 슬픔이라는 숲에 있을 때는 말이야, 나아질 방법이라고는 상상조차 할 수 없어. 하지만 누군가가 자기도 그런 적이 있었고 지금은 괜찮다는 이야기를 해준다면, 곧 좋아질 거라는 희망을 갖게 되기도 하지." "그러니까 슬픔이란 머무는 것이란 이야기야?" 지오바니가 물었다. "응. 어떤 사람들은 몇 년씩 있기도 해." 하고 내가 대답했다.
123 "Why don‘t you leave those so-called children out of this discussion? They don‘t even exist yet, Liz. Why can‘t you just admit that you don‘t want to live in unhappiness anymore? That neither of you does. And it‘s better to realize it now, by the way, than in the delivery room when you‘re at five centimeters."
"아이 이야기는 이제 그만하지 그래? 아직 아이가 있을 지 없을 지도 모르는 일이잖아. 불행한 결혼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걸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어? 너희 둘 다 인정하려 하지 않고 있잖아. 지금 인정하는 편이 나을 거야. 분만실에서 자궁이 5센티쯤 열렸을 때 깨닫는 것 보다는 말이야."
175 You are, after all, what you think, your emotions are the slaves to your thoughts, and you are the slave to your emotions.
우리 어쨌거나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이다. 우리 모두는 감정의 노예이고, 감정은 생각의 노예니까.
235 Man is neither entirely a puppet of the gods, nor is he entirely the captain of his own destiny ; he‘s a little both. We gallop through our lives like circus performers balancing on two speeding side-by-side horses - one foot is on the horse called "fate",the other on the horse called "free will". And the question you have to ask everyday is, which horse is which? Which horse do I need to stop worrying about because it‘s not under my control, and which do I need to steer with concentrated effort?
인간은 신의 꼭두각시이기만 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운명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는 존재도 못 되는, 말하자면 양쪽 다에 속한다. 우리는 서커스 곡예단처럼 인생을 살아간다. "운명"이라는 이름의 말과, "의지"라는 이름의 두 마리의 말 위에서 균형을 잡으며. 우리가 매일매일 잊지 말고 해야하는 질문은 이거다. 무슨 말이 무슨 말이었지? 내가 어찌할 수 없으니 잊어버려야 하는 말이 뭐였으며 바꿔보려고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말이 뭐였더라? 하면서.
251 "Move ahead with your life, will ya?" "I am." "What I mean is - find somebody new to love Someday. Take time you need to heal, but don‘t forget to eventually share your heart with someone."
"멈추지 말고 앞으로 나가야 해, 알았제?" "그럴 거야." "그러니까 내 말은, 언젠가는 누군가를 만나서 사랑할 생각을 하라고. 상처가 아물 때까지 충분히 기다리되, 결국은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누군가를 꼭 만나야 한다는 걸 기억하라고."
319 "You learn to smile even in your liver?" "Even in my liver, Ketut. Big smile in my liver." "Good. This smile will make you beautiful woman. This will give you power of to be very pretty. You can use this power - pretty power! - to get what you want in life." "Pretty power!" I repeat the phrase, loving it. Like a meditating Barbie. "I want prettty power!"
"뱃속의 간도 웃을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있나?" "그럼요. 뱃속의 간도 웃을 수 있게. 아주 크게 웃을 수 있게요." "좋아. 그 미소가 자네를 아름답게 가꿀거야. 미소가 아름다움 만들 힘을 줄 거라고. 그럼 그 힘을 사용할 수 있게 돼! 아름다움 힘! 원하는 걸 쟁취할 수 있는 힘을 아름다움 힘이 줄 거야." "아름다움 힘!" 나는 이 말이 무척 마음에 들어 따라해봤다. 마치 명상하는 바비인형처럼. "난 아름다움 힘이 좋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