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 우리 안의 트라우마 마주하기, 치유하기
김선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선현 지음/ 메디치(펴냄)








저자 책 서문에 공감한다. 개인의 트라우마만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국가적인 트라우마를 안겨준 많은 사건들을 목도한다. 당대에는 그것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이라는 것도 몰랐다고 한다. 대구의 지하철 참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 삼풍 백화점 붕괴, 씨랜드 화재 참사 등 무려 20년이 더 지난 지금, 당대 사진을 검색해 보면 아직도 눈물이 난다. 참사를 딛고 서서 그들의 귀한 목숨 값, 그 이름으로 만들어진 법률의 보호를 받으며 살아간다. 참으로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 아린 마음, 그 지역을 지날 때 떠오르는 불안한 감정, 만약 나에게 그런 일이 닥칠지 모른다는 긴장과 공포...

미술 치료 분야 권위자인 저자





트라우마라는 용어에 대해 먼저 정의한다. 치유의 힘이란 얼마나 중요한가!!!


생존자의 일생에 영향을 미치는 트라우마는 개인의 것이 아니라 집단의 고통이 된다. 저자는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광주 5.18민주화 운동의 유가족 혹은 생존자, ( 피해자 중 무려 46명이 자살했다고 한다) 제주 4.3 사건 트라우마, 한국 전쟁 트라우마 등 우리 역사가 저지른 큼직한 사건 생존자와 피해자들을 심리치료했다. 단어는 큰 힘을 가진다. 이게 과연 '사건'이라 불려서 되는 건가... 국가의 이름으로 그 많은 무고한 인명을 죽이고도 사건이라니.... 무려 50년이나 파묻혀있던 사건 ㅠㅠ





은둔형 외톨이, 미혼모, 청소년 우울과 자살, 어린이 청소년 성폭력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룬다. 개인 상담과 당사자가 그린 그림을 함께 보면서 그들의 고통에 좀 가까이 다가가는 기회가 되었다. 글로 보던 내용이 그림으로 만나니 그 충격이 크다. 전문가의 그림이 아니라 피해자의 그림에 담긴 사건에 대한 분노 그리고 진실성, 도움을 요청하는 목소리....






우리 사회가 갈 길은 아직 멀어 보인다.

무려 30년 가까이 다양한 트라우마 치유의 현장에서 피해자들을 만난 저자.

트라우마 치유의 본질은 어떤 증세가 있는지 아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