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세포막 안으로
김진성 지음 / 델피노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김진성 장편소설/ 델피노 (펴냄)








안타깝게도 진실은 믿음을 이기지 못한다. 소설의 첫 문장! 매번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진실은 믿음에게 지기도 한다. 진실이 이기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며 펼친 책이다.

일반적인 키에 일반적인 체중을 가진 김서연 ( 이 문장에서 일반적이라는 의미는 뭘까? 일반적인 여성의 키와 체중, 사람마다 그 느끼는 바가 다를 것이다. 내 기준에 일반적 여성 키 162, 체중 48??) 위대한 나의 대작가님 도스토옙스키가 주로 이런 묘사를 하곤 한다. 일반적이라는 단어가 사람마다 다를지라도 좋다 ㅎㅎ나름 상상해 볼 수 있어서...






리포솜, 유전자 가위, 분석 결과 그래프, 희귀 유전질환에 관한 연구, TPDD 치료제 등 과학 용어, 의학 용어들이 나온다. 임상 연구원인 김서연의 팀은 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 승인을 취소당하고 임상 대상자들의 연이은 죽음까지 충격이 크다.






게다가 뱃속의 아이까지 포기하려는 상태, 서연의 선택이 과연 옳은 걸까 ㅠㅠ

작은 주삿바늘과 심정지의 인과관계는?


한 번에 한 가지 생각, 한 가지 말밖에 하지 못하는 질환 TPDD


제약업계와 병원 측 그리고 의료인의 양심 나아가 이 모든 것을 덮으려는 분야 현실. 위계질서 등이 잘 드러난다. 결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의 논리는 피할 수 없는가..

한창 의료분쟁 중에 이 소설을 만나니 뭔가 더 특별하게 느껴진다. 주인공에게 희망을 걸게 된다. 응원하게 된다.






화학 신소재 공학이라는 저자의 이력이 잘 발휘된 소설이다.





최근 물리학이라는 영역에서 여성들이 얼마나 배제되고 소외당했는지 쓴 책을 읽었다. 화학 신소재, 제약업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여성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인 감각이 잘 드러난다. 그리고 낙태와 생명에 관한 생각. 희귀 유전병을 앓는 환자와 그 가족들의 고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왜 소설 제목이 당신의 세포막 안으로 인지 책을 덮으며 깨닫게 된다. 그 어떤 것보다 인간의 생명이 중요하다는 것. 가능성과 희망에 대해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